GB/GB12조-GB구역행위제한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 이축이 허용되는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에 위 규정의 시행일인 2012. 3. 16. 이전에 이미 철거가 완료된 건축물이 포함되는지 여부 (소극)

모두우리 2021. 12. 20. 21:38
728x90

대법원 2015. 11. 12. 선고 2014두47785 판결 
[건축불허가처분취소청구의소][공2015하,1899] 

【판시사항】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 제1항 제3의2호에 따라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 이축이 허용되는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에 위 규정의 시행일인 2012. 3. 16. 이전에 이미 철거가 완료된 건축물이 포함되는지 여부  (소극) 

【판결요지】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개발제한구역법’이라 한다) 제12조 제1항 제2호, 제3호, 제3의2호(이하 ‘개정 규정’이라 한다), 부칙(2011. 9. 16.) 제1조 단서의 문언 내용과 취지 등에 더하여, 개정 규정 중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은 개정 규정 시행 당시 아직 철거되지 아니한 건축물을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문언에 부합하는 점, 개정 규정은 2011. 9. 16. 개발제한구역법이 법률 제11054호로 개정됨에 따라 신설되었고, 그 이전에는 개발제한구역 내의 건축물 이축을 취락지구 안으로의 이축(제2호) 또는 공익사업에 의하여 건축물이 철거되어 이주단지가 조성되는 경우 이주단지 내로의 이축(제3호)으로 한정하여 허가할 수 있었는데, 개정 규정 이전의 제한이 주택 이외의 공장 등의 건축물의 경우 자연환경 훼손 가능성이 큰 점 등에 비추어 개발제한구역 내의 건축물 소유자의 재산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 없었던 점, 부칙은 개정 규정의 시행 시기에 관한 경과규정을 두고 있을 뿐 그 이전에 이미 공익사업에 의하여 철거가 완료된 건축물에 관하여는 아무런 경과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고, 개정 취지가 개정 규정 시행 이전의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의 이축이 제한된 건축물 소유자에게까지 새롭게 이축권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는 보기 어려운 점 등을 종합하면, 개정 규정에 따라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 이축이 허용되는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이란 ‘위 규정의 시행일인 2012. 3. 16. 이후에 철거되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이전에 이미 철거가 완료된 건축물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참조조문】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 제1항 제2호, 제3호, 제3의2호, 부칙(2011. 9. 16.) 제1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7. 4. 13. 선고 2006두16373 판결 

【전 문】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청맥 담당변호사 박영규 외 3인) 

【피고, 상고인】 구리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정언 담당변호사 심찬섭 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4. 12. 9. 선고 2014누5004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개발제한구역법’이라 한다) 제12조 제1항은, 개발제한구역에서는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공작물의 설치, 토지의 형질변경, 죽목의 벌채, 토지의 분할, 물건을 쌓아놓는 행위 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1호에 따른 도시·군계획사업의 시행을 할 수 없다고 규정하면서, 다만 개발제한구역의 건축물로서 제15조에 따라 지정된 취락지구로의 이축(제2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토지보상법’이라 한다)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을 이축하기 위한 이주단지의 조성(제3호), 토지보상법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 중 취락지구로 이축이 곤란한 건축물로서 개발제한구역 지정 당시부터 있던 주택, 공장 또는 종교시설을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 이축하는 행위(제3의2호, 이하 ‘이 사건 개정 규정’이라 한다)를 하려는 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 그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또한 개발제한구역법 부칙(2011. 9. 16.) 제1조 단서는 이 사건 개정 규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러한 관련 규정의 문언 내용과 그 취지 등에 더하여, ① 이 사건 개정 규정 중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은 이 사건 개정 규정 시행 당시 아직 철거되지 아니한 건축물을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위 규정의 문언에 부합하는 점, ② 이 사건 개정 규정은 2011. 9. 16. 개발제한구역법이 법률 제11054호로 개정됨에 따라 신설되었고, 그 이전에는 개발제한구역 내의 건축물 이축을 취락지구 안으로의 이축(제2호) 또는 공익사업에 의하여 건축물이 철거되어 이주단지가 조성되는 경우 그 이주단지 내로의 이축(제3호)으로 한정하여 허가할 수 있었는데, 이 사건 개정 규정 이전의 위와 같은 제한이 주택 이외의 공장 등의 건축물의 경우 자연환경 훼손 가능성이 큰 점 등에 비추어 개발제한구역 내의 건축물 소유자의 재산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 없었던 점(대법원 2007. 4. 13. 선고 2006두16373 판결 등 참조), ③ 위 부칙은 이 사건 개정 규정의 시행 시기에 관한 경과규정을 두고 있을 뿐 그 이전에 이미 공익사업에 의하여 철거가 완료된 건축물에 관하여는 아무런 경과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고, 그 개정 취지가 이 사건 개정 규정 시행 이전의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의 이축이 제한된 건축물 소유자에게까지 새롭게 이축권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는 보기 어려운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이 사건 개정 규정에 따라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 이축이 허용되는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이란 ‘위 규정의 시행일인 2012. 3. 16. 이후에 철거되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이전에 이미 철거가 완료된 건축물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원심판결 이유 및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 ① 원고가 1973년경부터 개발제한구역 내에 위치한 이 사건 공장 등을 건축하여 운영해 오던 중, 그곳이 1999. 4. 14.경 피고의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 편입되어 협의취득됨에 따라 이 사건 공장 등이 철거되고 원고가 이 사건 공장 등에 관한 보상금을 수령한 사실, ② 원고는 이 사건 개정 규정이 시행된 이후인 2013. 6. 11.경 피고에게 이 사건 공장 등을 이축하기 위하여 개발제한구역 중 취락지구로 지정되지 않은 토지 위에 공장 및 사무실을 신축하는 것을 허가해 달라는 내용의 건축허가신청을 한 사실, ③ 이에 피고는 2013. 6. 14. 원고에 대하여 이 사건 공장 등은 이 사건 개정 규정의 시행 전인 1999. 4. 15. 보상 후 철거된 건축물로 이 사건 개정 규정의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위 신청을 불허하는 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3.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공장 등은 이 사건 개정 규정이 시행되기 전에 이미 철거된 건축물로서 이 사건 개정 규정이 정한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원고의 건축허가신청을 불허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원심은, 이와 달리 이 사건 개정 규정의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에는 이 사건 개정 규정의 시행 전에 이미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른 철거가 완료된 건축물도 포함된다고 보아 이 사건 처분이 위법하다고 판단하고 말았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이 사건 개정 규정의 적용 범위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기택(재판장) 이인복 고영한(주심) 김소영  

*************************************************************   

 

서울고등법원 2014. 12. 9. 선고 2014누50042 판결  
[건축불허가처분취소청구의소][미간행] 

【전 문】 

【원고, 피항소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청맥 담당변호사 박영규) 

【피고, 항소인】 구리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정언 담당변호사 권성환 외 1인) 

【변론종결】 
2014. 10. 14.

【제1심판결】 의정부지방법원 2014. 4. 15. 선고 2013구합15717 판결 

【주 문】 

1.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3. 항소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1. 청구취지 

피고가 2013. 6. 14. 원고에 대하여 한 건축허가(이축) 신청 불허가처분을 취소한다. 

2. 항소취지 

제1심 판결을 취소한다.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이 유】 

1. 제1심 판결의 인용 

이 법원이 이 사건에 관하여 설시할 이유는, 아래 제2항에서 피고의 당심 주장에 대한 판단을 추가하는 외에는 제1심 판결문의 이유 기재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2. 피고의 당심 주장에 대한 판단  

가. 피고의 주장  

피고는 당심에서도, 구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2011. 9. 16. 법률 제11054호로 개정된 것, 이하 ‘구 개발제한법’이라 한다) 제12조 제1항 제3호의2(이하 ‘이 사건 법률조항’이라 한다)의 시행일인 2012. 3. 17. 이전에 철거된 원고의 건축물에 대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을 적용하는 것은 법령불소급의 원칙에 위반되어 허용될 수 없고, 소급적용 여부는 처분청의 재량행위라는 취지로 주장한다.  

나. 판단  

살피건대, 제1심이 이미 판시한 사정에 더하여 ① 이 사건 법률조항은 개발제한구역에서 행위허가를 받아 시행할 수 있는 행위의 하나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 중 취락지구로 이축이 곤란한 건축물로서 개발제한구역 지정 당시부터 있던 주택, 공장 또는 종교시설을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 이축하는 행위’를 규정하고 있는데, 그 문언상 건축물의 철거시점과 주1) 이축시점을 제한하고 있지는 않은 점, ② 개발제한구역 내의 이축행위허가는 철거되는 건축물이 이축허가 대상이 되는 건축물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축지에 건축되는 건축물 역시 건축법에 의한 요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고, 행정청으로서는 그 요건을 모두 갖추지 아니한 신청에 대하여는 그 요건의 보완을 요구할 수 있는바(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0두987 판결 참조), 이 사건 법률조항에 따른 이축행위허가도 기존 건축물이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었다는 것만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이에 더하여 이축지에 건축되는 건축물도 건축법에 의한 요건을 갖출 것도 요건으로 하고 하므로, 행정청은 건축물 철거 당시 시행되던 법령이 아니라 이축행위허가 신청 당시 시행되는 법령과 기준에 따라 위 이축행위허가 요건 구비 여부를 살펴 허가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는 점, ③ 그런데, 원고는 이 사건 법률조항이 시행된 이후인 2013. 6. 7. 피고에게 이축행위허가 신청을 한 점, ④ 원고의 이축행위허가 신청이 이 사건 법률조항의 요건을 갖춘 경우에도 피고에게 이축행위허가 여부를 결정할 재량은 있다하여도 이 사건 법률조항의 적용 여부에 대한 재량이 있다고 할 수는 없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이 사건 법률조항은 원고의 이축행위허가 신청에도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다른 전제에 선 피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3. 결 론 

그렇다면, 제1심 판결은 정당하고, 피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지대운(재판장) 이영환 김형석  


주1) 이와 달리 구 개발제한법 시행령(2012. 5. 14. 대통령령 제2378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조 제1항 [별표 1] 제5호 다.목 다)항 ①은 기존 주택의 소유자가 철거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이축할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었으나, 이 사건 법률조항 시행 이후 2012. 5. 14. 위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위 6개월 이내 이축 요건을 삭제하였다. 

*******************************************************  

 

의정부지방법원 2014. 4. 15. 선고 2013구합15717 판결 
[건축불허가처분취소청구의소][미간행] 

【전 문】 

【원 고】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청맥 담당변호사 박영규) 

【피 고】 구리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정언 담당변호사 김강노 외 1인) 

【변론종결】 
2014. 3. 25.

【주 문】 

1. 피고가 2013. 6. 14. 원고에 대하여 한 건축허가(이축) 신청 불허가처분을 취소한다. 

2.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주문과 같다. 

【이 유】 

1. 인정사실 

가. 원고는 1973년경부터 개발제한구역인 구리시 (주소 1 생략) 토지 지상에 공장 및 사무실 91.68㎡(실제 건축면적은 167㎡이다. 이하 ‘이 사건 공장 등’이라 한다)를 건축하여 운영해 오던 중, 그곳이 1999. 4. 14.경 피고의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 편입되어 협의취득됨에 따라 이 사건 공장 등에 관한 보상을 받았다. 

나. 원고는 취락지구로의 이축만을 허용하던 구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2000. 7. 1. 법률 제6241호로 제정된 것. 한편, 개발제한구역에서의 행위제한 등을 규정하고 있었던 구 도시계획법 제21조(1971. 1. 19. 법률 제2291호로 제정되어 1972. 12. 30. 법률 제2435호로 개정된 것)는 헌법재판소 1998. 12. 24. 선고 89헌마214, 90헌바16, 97헌바78(병합) 결정으로 헌법불합치결정을 받았다] 제11조 등 관계 법령에 따라 구리시의 취락지구로 지정된 ○○○ 지구(구리시 (주소 2 생략) 일원), △△△ 지구(구리시 (주소 3 생략) 일원), □□□□ 지구(구리시 (주소 4 생략) 일원) 등에서 이 사건 공장 등을 이축하기 위한 부지를 물색하였으나, 공장이전을 할 만한 부지가 거의 없었고, 그나마도 취락지구 내 토지소유자가 공장이축을 원하는 사람들과 토지거래를 원하지 않는 관계로 이 사건 공장 등을 이축하지 못하였다. 

다. 그러던 중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2011. 9. 16. 법률 제11054호로 개정되면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의 시행에 따라 철거되는 건축물 중 취락지구로 이축이 곤란한 건축물로서 개발제한구역 지정 당시부터 있던 주택, 공장 또는 종교시설을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 이축하는 행위’를 허용하는 제12조 제1항 제3호의2(이하 ‘이 사건 법률조항’이라 한다)가 신설되었다. 

라. 이에 따라 원고는 2013. 6. 7. 개발제한구역 중 취락지구로 지정되지 않은 구리시 (주소 5 생략) 도로 447㎡의 소유자인 소외인으로부터 대지사용승낙을 받아, 같은 달 11. 피고에게, 이 사건 공장 등을 이축하기 위하여 위 도로 447㎡ 중 272㎡ 부분 지상에 지상 1층, 건축면적 137.28㎡ 규모의 공장 및 사무실을 신축하는 것을 허가해 달라는 건축허가신청을 하였다. 

마. 피고는 2013. 6. 14. 원고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사유로 위 신청을 불허하는 처분을 하였다(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 

[불허사유] 

○ 이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은 이 사건 법률조항의 시행일인 2012 .3. 17. 이전인 1999. 4. 15.에 보상 후 철거된 건축물로서 이축이 불가하다(이하 ‘제1 처분사유’라고 한다). 

○ 원고의 기존 건축물이 있었던 구리시 (주소 1 생략) 토지는 2006. 1. 10. 개발제한구역에서 우선 해제된 지역(제1종 일반주거지역)으로서, 해제된 지역의 건축물은 개발제한구역내로 이축이 허용되지 않는다(이하 ‘제2 처분사유’라고 한다). 

바. 한편 이 사건 공장 등이 소재했던 지역은 2006. 1. 10.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되었다. 

[인정근거 :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호증의 1, 2, 갑 제2호증, 갑 제3호증의 1, 2, 갑 제4호증의 1 내지 5, 갑 제5, 8호증, 을 제2호증, 을 제3호증의 1, 2, 3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판단 

가. 당사자의 주장 

1) 원고 

이 사건 법률조항은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부득이하게 철거되는 건축물 중 취락지구로의 이축이 곤란한 주택, 공장 또는 종교시설을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 이축할 수 있게 허용함으로써 피수용자의 재산권을 보호하려는 취지이므로, 이 사건 법률조항은 그 시행일 이전에 철거된 주택, 공장 또는 종교시설에 대해서도 이 사건 법률조항에 따라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의 이축을 허용한다는 취지이다. 따라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2) 피고 

이 사건 법률조항 시행일 이전에 철거된 건축물에 대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을 적용하는 것은 법률불소급의 원칙에 반하는 것으로 허용될 수 없고, 설령 이 사건 법률조항이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공장 등이 소재했던 지역은 이미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되었으므로 이 사건 공장 등을 개발제한구역으로 이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 

나. 관계 법령 

별지 기재와 같다. 

다. 판단 

1) 이 사건의 쟁점 

이 사건의 주된 쟁점은 이 사건 법률조항 시행일 이전에 철거된 이 사건 공장 등에 대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2) 제1 처분사유의 적법 여부 

살피건대, ① 행정처분은 그 근거 법령이 개정된 경우에도 경과규정에서 달리 정함이 없는 한 처분 당시 시행되는 개정 법령과 그에 정한 기준에 의하는 것이 원칙인 점, ② 이 사건 법률조항은 시행일 이후 공익사업으로 철거되는 건축물에 대해서만 적용한다는 경과규정 없이 시행일만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로 정하고 있는 점, ③ 이 사건 법률조항이 신설된 취지 역시, 종전에는 관계 법령에서 주택에 대하여는 공익사업의 시행 또는 재해로 인하여 더 이상 거주할 수 없게 된 경우 등 최소한의 생활근거 유지와 주거보장을 위해 취락지구가 아니더라도 자기 소유 토지 중 일정한 곳에 이축을 허용하고 있었던 반면[구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2011. 9. 16. 법률 제1105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2조 제1항, 같은 법 시행령(2011. 9. 16. 대통령령 제2314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조 제1항 별표 1 참조], 공장·종교시설 등 건축물에 대해서는 취락지구로만 이축이 가능한 것으로 정하고 있었는바, 취락지구의 지정기준을 주택 위주의 기준으로 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위 시행령 제25조 제1항 제2호 참조), 환경오염 등 주거환경 악화로 주민생활 불편이 초래되어 사실상 공장 등의 시설을 취락지구로 이축하기 곤란한 점, 공장·종교시설 등의 경우도 주택과 동등하게 개발제한구역 내에 있었다가 공익사업에 편입되어 철거되게 된 점, 원칙적으로 이축제도를 허용하면서도 이전할 곳을 취락지구로 한정함으로써 이축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어 종전의 재산을 보전할 방안이 부재한 점 등을 고려하여, 공장 등 건축물에 대해서도 재산권 보장의 차원에서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의 이축을 허용함으로써 구제하자는 취지로 해석되는 점, ④ 개정 법령이 기존의 사실 또는 법률관계를 적용대상으로 하면서 국민의 재산권과 관련하여 종전보다 불리한 법률효과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급입법에 의한 재산권 침해의 문제가 발생할 수는 있으나, 이 사건 법률조항은 원고에 대하여 종전과 달리 이 사건 공장 등을 취락지구가 아닌 지역으로의 이축을 허용하는 유리한 법률효과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소급입법에 의한 재산권 침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점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법률조항은 시행일 이전에 철거된 이 사건 공장 등 건축물에 대해서도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피고로서는 처분 당시인 2013. 6. 14. 시행되고 있는 이 사건 법률조항 등 관계 법령에 따라 원고의 건축허가 신청에 대한 허부를 결정해야 함에도, 이와 달리 이 사건 법률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이 사건 제1 처분사유를 들어 위 신청을 거부하였으므로, 이 사건 제1 처분사유는 위법하다. 

3) 제2 처분사유의 적법 여부 

이 사건 법률조항은 이축의 대상을 ‘개발제한구역 지정 당시부터 있던 주택, 공장 또는 종교시설’로 정하고 있고,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던 이 사건 공장 등이 1999. 4. 14.경 협의취득되어 그 무렵 철거되었음은 앞서 본 바와 같으므로, 그 이후에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되었다는 점은 이 사건 법률조항의 적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따라서 이와 다른 전제의 이 사건 제2 처분사유 역시 위법하다. 

3. 결론 

그렇다면 이 사건 제1, 2 처분사유를 들어 원고의 건축허가 신청을 불허한 피고의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므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있어 이를 인용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별지 생략] 

판사   정효채(재판장) 최승준 권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