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일반정책/부동산·경기-동향

최근 지역경제통합 동향 및 시사점_09.7.2.

모두우리 2009. 7. 7. 22:58
728x90

 

최근 지역경제통합 동향 및 시사점

 

 

 

09. 7. 2(목)

 

 

1. 최근 동향 1

1. 개 관 1

2. 지역별 동향 3

? 유럽 3

? 중동 4

? 중남미 5

? 동아시아 6

? 아프리카 8

 

2. 지역통합 심화 원인 9

3. 향후전망 및 시사점 10

1

 

최근 동향

 

1. 개 관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통합은 계속 진전

 

(양적 증가) ’90년대 이후 급증하기 시작한 RTA* 체결 건수는 최근의 금융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증가세가 지속

 

* RTA(Regional Trade Agreement: 지역무역협정): 자유무역협정(FTA), 경제협력협정(EPA), 무역촉진협정(TPA), 특혜무역협정(PTA), 제휴협정(AA), 서비스협정, 관세동맹 등 포함

 

< 전세계 RTA 추진 현황 >

구 분

’55-’60

’61-’70

’71-’80

’81-’90

’91-’95

’96-’00

’01-’05

’06

’07

’08

’09.6

신 규

(건_)

3

(0.6)

3

(0.3)

10

(1)

9

(0.9)

28

(5.6)

38

(7.6)

87

(17.4)

16

14

16

8

누 계

(건)

3

6

16

25

53

91

178

194

208

224

232

※ ( )는 연평균 건수 * 자료: WTO, 발효건수 기준

 

 

 

< 지역별 RTA 추진 현황 >

구 분

아시아

유럽

미주

대양주

’90

’00

’09.6

’90

’00

’09.6

’90

’00

’09.6

’90

’00

’09.6

누 계(건)

9

21

74

13

57

114

16

29

86

5

6

15

* 자료: WTO, 발효건수 기준

(질적 심화) 지역별 주요 경제공동체들은 최근 통합단계가 진전되거나 역내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경향

 

< 지역경제공동체 통합진전 동향 >

지 역

공동체

통합단계

최근 주요 동향

유 럽

EU

경제통화동맹→ 완전통합

리스본 조약 비준 추진(’09.10 예정)

중 동

GCC*

공동시장 → 경제통화동맹

▪공동통화 도입 협정 체결(’09.6)

남 미

MERCOSUR

관세동맹 →

경제통화동맹

브라질, 아르헨 상호 자국통화 결제(08.10)

아르헨: 주변국들과 자국통화 결제 확대 추진

동아시아

ASEAN+3

FTA 확대

+

금융협력 강화

ASEAN은 한,중,일 각국과 FTA 체결 완료(’09.6)

한․일 FTA(실무협의), 한․중․일 FTA (공동연구)

▪중․대만 FTA 추진(’10년 타결 목표)

ADB 등을 중심으로 아시아 공동통화 연구

아프리카

SADC**

FTA → 경제통화동맹(목표)

▪단일통화 도입 추진(2018년 목표)

* GCC(Gulf Cooperation Council): 걸프협력회의

- 회원국(6개국):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 SADC(South African Development Cooperation): 남아프리카 경제공동체

 

자유무역지대

(Free Trade Area)

②관세동맹

(Customs Union)

③공동시장

(Common Market)

경제통화동맹

(Eco. & Monetary Union)

완전경제통합

(Complete Eco. Integration)

관세철폐(ex:ASEAN)

 

 

 

 

역외 공동관세(ex:MERCOSUR)

 

 

 

생산요소 자유이동(ex:GCC)

 

 

공동경제정책, 단일통화(ex:EU)

 

초국가적 정부․의회, 주권이양(ex:EU 추진중)

① 회원국간 관세철폐

② 회원국간 관세철폐 + 역외국에 대한 공동관세율 적용

③ 역외공동관세율 적용 + 회원국간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 보장

경제, 사회, 복지 등 분야에서 회원국간 공동정책실시 및 단일통화 도입

⑤ 초국가적 정부 및 의회를 설치하고 회원국은 주권을 이양

< 지역경제통합의 심화 단계 >

2. 지역별 동향

 

? 유럽 : 완전통합 단계로 발전중

 

최근 EU는 ’07.12월 서명된 「리스본 조약*의 비준을 위해 막바지 노력을 경주중

 

* ’05년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국민투표 부결로 무산된 유럽헌법 조약을 대체하는 조약(’07.10월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합의)

 

리스본 조약 주요내용

 

 

 

ㅇ EU에 법인격 부여

ㅇ EU 대통령(임기 2.5년) 및 외무장관(임기 5년) 신설

- (현행): 6개월 순환 의장직만 존재

가중다수결제 도입: 회원국 수 55% 이상, 찬성국 인구 65% 이상

- (현행): 회원국 인구수에 비례하여 투표권 부여

ㅇ 유럽의회 의석수를 최대 750석으로 제한

ㅇ 유럽의회와 각료이사회의 공동입법을 일반화

ㅇ 유럽시민에게 EU집행위에 대한 법안제출권 부여

 

- 현재 EU 27개 회원국 중 26개 회원국은 비준*을 마무리하였으며 아일랜드가 최종 2차 국민투표를 남겨둔 상태

(’08.6월 1차 국민투표시 부결)

 

* EU 정상회의시(’09.6.18)「리스본 조약」비준 마무리를 위하여 아일랜드에 대해 국외중립, 노동자 보호, 낙태 등 일부 권리를 보장키로 합의함에 따라 아일랜드 2차 국민투표(’09.10월)에서 리스본 조약이 승인될 가능성이 매우 커짐

 

리스본 조약이 아일랜드 2차 국민투표에서 승인될 경우 EU초국가적 정치공동체 단계로 진입하게 됨

? 중동 : 공동시장에서 경제통화동맹 단계로 발전중

 

GCC(걸프협력회의)는 ’81년 출범 이후 점진적인 통합을 진전시켜 오던 중 ’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공동통화 창설 협정」을 체결(’09.6.8)하는 등 통합이 가속화

 

- 참가국(4개국*) : 사우디,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 UAE(이랍에미리트) 는 당초 아부다비에 두기로 예정되었던 GCB(걸프중앙은행)을 사우디 리야드로 변경함에 따라 협정서명은 거부하였으나 공동통화 도입에는 찬성

 

- 출범시기 : 2013년 목표(당초 2010년)

 

- 중앙은행 : GCB(걸프중앙은행), 사우디 리야드 소재

 

- 공동통화명(잠정) : Khaleeji(칼리지: 아랍어로 “걸프의”)

 

 

GCC 주요 연혁

 

 

 

(’81년) GCC(Gulf Cooperation Council) 출범

- 회원국(6개국): 사우디,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오만, 아랍에미레이트(UAE)

(’83년) FTA 단계로 진전

(’03년) 관세동맹(Customs Union)으로 진전: 역외 평균관세율 5%

(’08.1월) 공동시장(Common Market) 으로 진전

(’08.12월)중동화폐 통합안」합의(5개국:오만 제외)

(’09.6월) 「공동통화 창설협정」서명 (4개국:오만, UAE 제외)

동지역은 산업적․문화적․정치적 동질성이 강해 공동통화 도입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한 환경

 

공동통화 도입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GCC 지역은 EU에 이어 두 번째로 경제통화동맹 단계로 진전하게 됨

? 중남미 : 관세동맹에서 경제통화동맹으로 발전중

 

최근 중남미 지역은 역내 주요 경제국인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주도하에 경제통합이 심화되는 추세

 

- 중남미 주요 경제공동체인 MERCOSUR(남미공동시장)는 ANCOM(안데스공동시장)과 통합하여 UNASUR(남미국가연합)*을 출범시켜 지역통합 영역을 확대(’08.5월)

 

* UNASUR(12개국)= MERCOSUR(5개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 ANCOM(4개국: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 기타(3개국: 가이아나, 수리남, 칠레)

 

MERCOSUR 주요 연혁

 

 

 

ㅇ (’80년) 브라질, 아르헨티나 경제협력프로그램으로 출발

- 만성적 인플레 해결, 남미지역 환율조정, 정치적 안정 도모

(’91.3월) 「아순시온(Asuncion)」조약 체결: FTA 및 공동시장(목표)

- 브라질, 아르헨 + 파라과이, 우루과이

(’94년) 역외공동관세율 채택으로 관세동맹으로 진전

(’04년) MERCOSUR와 ANCOM(안데스 공동체)간 FTA 체결

(’06년) 베네수엘라 MERCOSUR 가입(총 5개국)

(’08.5월) UNASUR (MERCOSUR + ANCOM) 출범(경제통합 목표)

한편 브라질, 아르헨티나를 중심으로 경제통화동맹 진전의 핵심요소인 남미지역 공동통화 도입을 위한 단초를 마련

 

-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무역거래시 상호 자국통화 결제 비중을 확대하기로 합의(’08.10월)

 

- 이와 함께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중남미국가들과의 교역에서 미 달러화 대신 자국통화의 결제비중을 늘리는 방안 추진

 

동 지역은 브라질, 베네수엘라 간 주도권 경쟁, 회원국들간 이념 및 경제력 격차 등으로 인해 EU 수준의 통합을 이루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전망

? 동아시아 : 자유무역지대 확대 및 금융협력 강화

 

최근 동아시아 지역은 ASEAN한․중․일을 중심으로 상호 FTA 체결이 확산되고 협력관계가 교역․투자 외에 금융부문까지 확대되는 등 상호의존도가 증가하는 추세

 

ASEAN 주요 연혁

 

 

 

(’61년) ASA(Association of Southeast Asia: 필, 말련, 태)가 모태

(’67년) ASEAN 출범 (방콕 선언): 필, 말련, 태 + 인니, 싱

(’93년) 역내국가간 특혜관세 적용(CEPT): FTA로 진전(AFTA)

(’97년) CMI 출범(ASEAN + 한․중․일), ABMI 추진: 금융협력으로 확대

- 현재 CMI 다자화 추진, 아시아 공동통화 연구

(’99년) 10개국으로 확대(기존5개국+부르나이,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07년) 2013년까지 인도, 호주, 뉴질랜드와 FTA 체결 목표

 

- ASEAN은 최근 한국과의 FTA 체결을 완료*(’09.6월)하는 한편 2013년까지 인도, 호주 등 주요국들과의 FTA 체결을 추진

 

* ASEAN은 한․중과는 블록차원에서 FTA를 체결하고 일본과는 블록차원뿐만 아니라 태국, 인니 등 6개국이 개별적으로 FTA를 체결

 

- 한․중․일 3국은 상호 조속한 FTA 체결 필요성에 공감하고 공동연구를 수행중이며 한․일은 협상에 앞서 실무 협의

 

- 특히 최근 중국대만은 무역거래를 자유화하고 경제교류를 대폭 확대하는 일종의 FTA인 ECFA** 체결을 추진

 

** ECFA(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대만 마잉주 총통은 2010년 타결 목표로 중국과의 ECFA 추진 희망(’09.6)

한편 동아시아 지역은 FTA의 확산 외에 금융부문에서의 협력이 확대․강화되고 있는 상황

 

- CMI(Chiang Mai Initiative) 다자화, 역내 채권시장 육성(ABMI)*, 보증기구 설립 추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협력이 확대되고

 

* ABMI(Asia Bond Market Initiative): 아시아 역내 저축을 역내 투자재원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채권시장 육성 구상(’03년 한국 제안)

 

- 민간연구소, ADB 등을 중심으로 장기적 아시아 공동통화의 도입에 관한 연구도 활발

 

시 기

목 표

주요 내용

2010년대

(제1단계)

지역경제협력체계 구축

아세안+3(한중일) 재무장관과

은행장으로 구성된 협의회 구성

▪지역 FTA 완결

2020년대

(제2단계)

아시아 통화단위(ACU) 도입

▪재정적자 및 정부부채 축소,

환율변동 제한

▪국제기구의 ACU표시 채권 발행

2030년대

(제3단계)

아시아 공동통화 도입

통화주권을 아시아중앙은행에 이전

< IIPS*의 아시아 공동통화 도입 제안내용 >

* IIPS: 일본 세계평화연구소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더 이상 미국 유럽의 소비에 의존하는 경제체제 유지가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공동체 논의는 가속화될 전망이나

 

- 동 지역의 역사적 경험, 중․일의 주도권 경쟁, 문화적 다양성, 경제적 격차 등은 공동체 형성의 장애요인으로 작용

? 아프리카 : 자유무역지대에서 경제통화동맹 단계로 발전중

 

최근 아프리카 지역은 역내 주요 경제공동체간 통합 논의가 진전되고 각 공동체별로는 공동통화 창설 등을 추진중

 

공동체

COMESA

EAC

SADC

통합단계

FTA

FTA → 관세동맹

FTA → 관세동맹

회원국

19개국

5개국

14개국

인구

3억9천만명

1억2천만명

2억5천만명

GDP

2,750억불

410억불

4,310억불

< 아프리카 3대 지역경제공동체 개요 >

* COMESA(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동남아프리카 공동시장

EAC(Eastern African Community): 동아프리카 공동체

SADC(Southern Africa Development Community): 남아프리카 개발공동체

 

- 아프리카 정상들은 아프리카 전역을 아우르는 아프리카 경제공동체(AEC)*를 출범시키고 역내 FTA 추진에 합의(’08.6월)

 

 

* AEC(Afrian Economic Community): 아프리카 경제공동체

 

- 한편 남아프리카 개발공동체(SADC)는 독자적으로 ’18년까지 완전통합을 추진

 

2008

2010

2015

2016

2018

FTA

관세동맹

공동시장

통화동맹

완전통합

< SADC 경제통합 로드맵 >

 

SADC 주요 연혁

 

 

 

(’81년) SADCC(South African Develpment and cocordination Conference) 가 모태 (’92년) SADC로 명칭 변경(남아공, 앙골라 등 아프리카 14개국)

(’07년) 경제통합 로드맵 발표

(’08년) EAC(동아프리카공동체), COMESA(동남아프리카공동시장)와 FTA 체결

 

 

동 지역은 회원국들간 경제적 격차, 저개발국가들의 관세감소 우려, 정치 불안 등 통합의 장애요인이 많은 상태이나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통합 모멘텀은 유지될 전망

2

 

지역통합 심화 원인

 

? 글로벌 금융위기

 

최근의 세계경제 침체를 배경으로 한 보호무역주의 확산 달러화 의존도 감소지역통합을 더욱 가속화하는 계기

 

-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역내 국가들간 FTA 추진 등 역내 경제통합 움직임에는 오히려 촉진요인으로 작용

 

- 전세계적으로 달러화 의존도 감소가 진행되면서 지역공동통화 도입자국통화 결제 등이 추진되고 이는 자연스럽게 지역별 공동체의 통합 심화로 연결

 

? 교착상태에 빠진 다자간 무역협상

 

교착상태에 있는 WTO DDA 협상 역내 국가간 경제통합을 심화

 

- 다자간 무역협상의 진전이 더딘 가운데 각국이 이에 대한 차선책으로 FTA 확대에 주력

 

- 지역내 국가간 및 지역 경제공동체와 주변국과의 FTA 체결 증가로 지역 경제공동체의 외연 확대 및 협력관계 심화*

 

* Ex) ASEAN → ASEAN+3(한․중․일) → 동아시아 공동체(최근 논의 활발)

? EU의 역할 모델

 

EU의 성공적 통합 추진 과정 및 결과는 타 지역공동체 창설 및 통합 심화의 역할 모델로서 기능

 

- 정치적으로 EU는 국제사회 영향력이 커지면서 유럽 지역이익을 효과적으로 대변

 

- 경제적으로도 유로화가 달러화 대비 안정세를 보이는 등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 하에서 세계 다른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선방한다는 인식 확산

 

3

 

향후전망 및 시사점

 

? 향후 지역통합 심화 추세 지속

 

보호무역주의 확산, 지역공동체간 경쟁 등 지역통합 심화요인은 상당기간 지속 전망

 

- 경기침체를 배경으로 한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은 상당기간 지속되어 지역내 결속의지를 강화

 

- 일부 지역공동체의 공동통화 진전은 여타 지역공동체의 공동통화 도입촉진하는 요소(지역공동체간 경쟁)

 

현시점에서 지역별 공동통화 도입 등 지역통화 진전에 대응한 對지역공동체 경제협력전략 마련

? 동아시아 지역 통합에 대한 논의 제기 가능성

 

ASEAN 지역에서는 멀지 않은 장래에 공동통화 도입통한 경제공동체 진전 논의가 제기될 전망

 

 

CMI 다자화, 채권시장 발전방안(ABMI) 등을 통해 ASEAN 지역과 금융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ODA의 확대, 경제개발경험 전수 등을 통해 ASEAN내 우호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경제협력을 확대

 

동북아 지역에서는 실무협의 단계인 한․일 FTA와 연구단계인 한․중․일 FTA의 추진이 지속될 전망

 

- 한․일 FTA는 금번 頂上간 합의(’09.6.28)실무협의 논의 수준을 격상하는 등 진전 예상

 

- 한․일 FTA 진전으로 한․중․일 FTA 추진 요구 점증 전망

 

국내이견의 충실한 조정으로 한․일 FTA 효율적 추진을 도모

 

연구․조사단계인 한․중․일 FTA는 평가단계를 거쳐 연구차원에서 정책 대화 수준으로 격상하는 방안 검토 필요

 

ASEAN+3무역자유화 노력과 도, 중앙아시아 국가과의 FTA 추진은 아시아 경제공동체로 발전해 나가는 계기

 

- 한․일 FTA의 성공적 추진은 ASEAN+3의 경제공동체 형성 논의 촉진에 기여

 

- 동아시아 국가들의 인도,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FTA 추진은 아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공동경제권 형성 논의 계기

 

장기적으로 ASEAN+3의 경제공동체 형성과 아시아 전체의 공동경제권 형성 논의에 대비한 고위급 정책 협의, 산․관․학 공동 연구 등을 활성화

? 지역 경제공동체와의 FTA 적극 추진 및 경협 강화

 

지역별 경제공동체 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통합단계가 진전된 지역공동체와의 FTA 추진을 촉진

 

- FTA의 효율성 측면에서 양자간 FTA와 병행하여 對 지역경제공동체 FTA를 적극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

 

- 다수의 양자간 FTA는 FTA별로 각기 다른 원산지규정절차 등으로 기업경영, 세관업무에 부담*

 

* 스파게티보울 효과(Spaghetti Bowl Effect): FTA 체결 건수가 많아질수록 FTA별로 각기 다른 원산지 규정 등으로 FTA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기업 및 정부의 부담이 증가하는 현상(이러한 맥락에서 원산지 규정을 숨겨진 비관세 장벽으로 지칭)

 

EU, GCC, MERCOSUR지역경제공동체와의 FTA 타결을 촉진하는 등 이들 공동체와의 경제협력을 강화

 

< 우리나라의 對 지역경제공동체 FTA 추진 현황 >

공동체

협상시작

추진 현황

EFTA

’04.8월

▪발효(’06.9.1)

ASEAN

’05.2월

▪상품협정(’07.6월)과 서비스협정(09.5월)은 발효

▪투자협정은 서명(’09.6월) 완료

EU

’07.5월

▪8차에 걸친 협상으로 대부분 사항에 합의(’09.3월)

- 관세환급에 대한 이견 최종 조정중

GCC

’08.7월

▪2차 협상까지 진행(통합협정문 초안 다수조항 합의)

- 3차 협상 개최예정(’09.7.8~10, 서울)

MERCOSUR

공동연구

공동연구 발표회 개최(’07년, 몬테비데오)등 여건조성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