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민사] 신탁계약상 위탁자인 원고가 이 사건 아파트의 사용, 수익 및 유지, 관리사무를 담당하고, 이를 위하여 원고가 이 사건 아파트를 사실상 점유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신탁재산에 관한 대내외적인 소유권과 배타적인 처분, 관리권을 가지는 수탁자가 위탁자인 원고에 대한 관계에서 위 약정에 따른 제한을 부담하고, 원고의 그와 같은 신탁부동산의 사용, 수익행위 등을 용인한다는 의미에 불과할 뿐이고, 이를 넘어서서 위 약정에 의하여 위탁자인 원고에게 제3자를 상대로 청구할 수 있는 독자적인 권리로서의 점유, 사용, 수익권이 생긴다는 의미로 볼 수는 없다고 한 사례
'중개업·부실법·매매예약·분양 > 부실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명의신탁약정의 수탁자가 당사자가 되어 선의의 제3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하여 등기이전된 경우 (0) | 2014.06.12 |
---|---|
명의신탁에 있어 조세회피목적이 없었다고 인정될 정도로 조세회피와 상관없는 뚜렷한 목적이 있었고 (0) | 2013.09.28 |
수인(조합)이 동업목적으로 취득한 부동산-00다30622 (0) | 2010.11.30 |
부동산의 허위양도와 강제집행면탈죄 성립-98도2474 (0) | 2010.11.30 |
부락 총유 부동산을 부락민에게 명의신탁한 경우 부실법적용-울산지98나112 (0) | 201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