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도록 부동산을 거론하지 않으려고 했는데, 최근 돈이 쏠리는 곳이 부동산이고 여의도에서도 연일 부동산'만' 화제라 예전부터 꼭 쓰고 싶었던 글을 써보고자 한다. 바로 강남아파트 ETF다.
강남아파트 ETF를 만들어 증시에 상장하면, 수십억 목돈이 없어도 강남아파트에 투자할 수 있다. 부동산 과열이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하락에 베팅할 수도 있다. 하락론자와 상승론자가 만나 거래하다 보면 매매가 외에도 참고할 수 있는 지표가 생기는 셈이고, 실물 매수 대기자들이 적정 시세를 판단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지금 부동산은 공매도를 칠 수 없다. 거품이라고 생각하면 그냥 외면할 수밖에 없는 불합리한(?) 시장이다.
만약 1주당 30억원인 주식이 상장돼 있다고 해보자. 며칠에 한 번 거래될 뿐이면, 기존 주주가 아닌 이들 입장에서는 그것이 적정가라고 인정하기 힘들다. 돈 있는 소수의 투자자가 얼마든지 가격을 왜곡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366/2018/09/06/0000414892_001_20180906072750844.jpg?type=w647)
강남아파트 ETF를 만들어 증시에 상장하면, 수십억 목돈이 없어도 강남아파트에 투자할 수 있다. 부동산 과열이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하락에 베팅할 수도 있다. 하락론자와 상승론자가 만나 거래하다 보면 매매가 외에도 참고할 수 있는 지표가 생기는 셈이고, 실물 매수 대기자들이 적정 시세를 판단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지금 부동산은 공매도를 칠 수 없다. 거품이라고 생각하면 그냥 외면할 수밖에 없는 불합리한(?) 시장이다.
만약 1주당 30억원인 주식이 상장돼 있다고 해보자. 며칠에 한 번 거래될 뿐이면, 기존 주주가 아닌 이들 입장에서는 그것이 적정가라고 인정하기 힘들다. 돈 있는 소수의 투자자가 얼마든지 가격을 왜곡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366/2018/09/06/0000414892_001_20180906072750844.jpg?type=w647)
이런 생각을 한 전문가가 적지는 않았다. 지난 2010년 당시에도 한 자산운용사 대표가 기자에게 "아파트 ETF가 필요하다"고 역설한 바 있다.
하지만 꾸준히 제기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매번 실패했다. 3년 전쯤부터 한국감정원과 한국거래소는 아파트 지수 개발을 추진해왔는데, 역시나 이번에도 최근 정부에서 제동이 걸렸다. 괜히 부동산 과열에 한 번 더 기름을 끼얹을 수 있다는 것이다. 기초지수를 만들려면 해당 자산을 편입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아파트값이 더 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어느 정도는 동의한다. 그런데 매번 하락장일 땐 외면하고, 상승장일 때만 지수 개발을 추진하고 있어 속도가 붙지 않는 상황이다. 다음 하락장 때는 아파트 ETF 개발을 고민해보면 어떨까 한다.
아파트·오피스텔 리츠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리츠는 기본적으로는 임대료를 배당으로 나눠주는 투자 상품이나, 청산 시 부동산(건물) 매각 후 차익도 나눠준다. 최근 이지스자산운용이 임대아파트 리츠를 공모 상품으로 내놓겠다고 했는데, 이를 확대하는 방안도 고민이 필요하다.
[안재만 기자 hoonpa@chosunbiz.com]
하지만 꾸준히 제기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매번 실패했다. 3년 전쯤부터 한국감정원과 한국거래소는 아파트 지수 개발을 추진해왔는데, 역시나 이번에도 최근 정부에서 제동이 걸렸다. 괜히 부동산 과열에 한 번 더 기름을 끼얹을 수 있다는 것이다. 기초지수를 만들려면 해당 자산을 편입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아파트값이 더 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어느 정도는 동의한다. 그런데 매번 하락장일 땐 외면하고, 상승장일 때만 지수 개발을 추진하고 있어 속도가 붙지 않는 상황이다. 다음 하락장 때는 아파트 ETF 개발을 고민해보면 어떨까 한다.
아파트·오피스텔 리츠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리츠는 기본적으로는 임대료를 배당으로 나눠주는 투자 상품이나, 청산 시 부동산(건물) 매각 후 차익도 나눠준다. 최근 이지스자산운용이 임대아파트 리츠를 공모 상품으로 내놓겠다고 했는데, 이를 확대하는 방안도 고민이 필요하다.
[안재만 기자 hoonpa@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