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민형사, 취업/생활정보

5.1일부터 대중교통비 20~53% 환급, (기존카드로 하지...또 발급)

모두우리 2024. 4. 30. 16:12
728x90


5.1일부터 대중교통비 20~53% 환급,
K-패스로 교통비 걱정 패스!
- 대중교통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환급
- K-패스 혜택을 받기 위해서 카드 발급 이후 신규 회원가입 절차 거쳐야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 이하 대광위)는 5월 1일부터 K-패스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ㅇ K-패스는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대상)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이다.  

󰊱 이용방법

□ K-패스 이용 방법은 ①카드 발급과 ②회원가입만 거치면 되어 간단하다. 

 ① 우선 10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K-패스 전용 카드를 발급받는다.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참고1)
     - 사전에 카드를 발급 신청할 수 있도록 4월 24일부터 각 카드사별 안내 中

 ② 5월 1일 이후, K-패스 공식 앱* 또는 누리집(korea-pass.kr)에서 회원가입 시, 카드번호를 등록하면 그 이후부터 탑승하는 대중교통 이용 실적에 따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배포하는 공식 앱(“K-패스”) 설치 필요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라면 추가 카드 발급이나 회원가입 없이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누리집(alcard.kr)에서 간단한 회원 전환 절차*를 거쳐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3월부터 사전 회원전환 절차 진행 (4.28일 기준 약 80만명 전환 완료)

 

회원 전환 완료 전까지 K-패스 혜택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라면 반드시 회원 전환을 완료해야 한다.

 

- 회원전환 절차는 알뜰교통카드 누리집(~630**, 이후 운영 종료)을 통해 이용 가능하다.

 

* 알뜰교통카드 회원정보의 이관, K-패스 이용약관 등에 대한 이용자 동의 필수

** 630일 이후에는 전환 종료 / K-패스 앱·누리집에서 K-패스 신규 회원가입 필요

 

알뜰교통카드 앱은 51일 이후 접속 시 K-패스 앱으로 업데이트된다.

 

󰊲 이용 혜택

 

K-패스로 대중교통을 15 이상 이용하는 만19세 이상 성인이라면, (매월 1~말일) 최대 60회분에 해당하는 대중교통비의 20~53.3%*를 적립하여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다.

 

* 일반(35) 20% / 청년(19~34) 30% / 저소득(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53.3%

 

외국인 등록증을 발급받은 외국인의 경우도 K-패스 회원가입 가능

 

만약 월평균 7만원을 지출하는 이용자라면, 일반인은 1.4만원, 청년은 2.1만원, 저소득층은 3.7만원을 절감하게 된다.(연간 17~44만원 수준)

 

K-패스 혜택 외에, 각 카드사별카드 이용실적에 따라 추가 혜택도 제공하고 있어 절감 효과는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참고1)

 

발급받은 카드에 따라 환급 방식이 다르며, 이는 아래와 같다.

 

체크카드는 카드와 연결된 계좌로 적립액을 환급받는다.

 

신용카드익월 결제대금에서 적립액만큼 자동 차감된다.

 

그 외 선불형 충전식 카드(모바일카드, 실물카드 포함)해당 카드사의 앱에서 적립액만큼 다시 충전할 수 있다.

K-패스 적립금 등 개인 이용내역에 대해서는 K-패스 앱과 누리집(korea-pass.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다만, 카드사와 교통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여건에 따라 실제 대중교통을 이용한 날짜보다 최소 3~최대 2주 늦게 표출될 수 있음

 

< 1회당 지출금액 기준 K-패스 적립금액 예시 >

1회당 지출금 1,500
(서울 시내버스)
2,000
(기본요금 + 거리요금 추가 시)
2,800
(광역버스 기본요금)
4,450
(GTX-A 수서~동탄)


일반 20% 300 400 560 890
청년 30% 450 600 840 1,340
저소득 53.3% 800 1,070 1,500 2,380

* 1회당 적립금 예시로 1원 단위 올림한 값이며, 60회 이용 총액에 대한 적립금은 다를 수 있음

비고 1) 가입 첫 달은 월15회 미만 시에도 환급 / 이후부터는 15회 이상 이용 필수
2)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대상(고속·시외·공항버스, KTX·SRT 등 제외)
3) 지출금액 월 20만원까지는 전액, 20만원 초과분은 50%만 환급률(20~53%) 적용
*예시) 60회분에 해당하는 금액이 22만원인 경우, 20만원+(2만원×50%)=21만원에 대해 20~53% 환급률 적용
(인정 범위는 대중교통 요금 변동 추이, 이용 패턴, 재정여건 등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

 

󰊳 적용 지역 및 지자체 추가 혜택

 

K-패스는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하는 사업으로, 현재 참여하는 지역은 17개 시·도 및 189개 시··(참고2)이다.

 

인구 수가 적은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 모든 지자체가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대광위는 K-패스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적극 협력하여 참여 지자체를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K-패스에 회원가입을 하기 위해서는 회원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참여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있어야 한다.

 

* 회원가입 시 주소지 검증을 통해 주민등록 여부 확인

 

가입 이후에는, 전국 모든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한 실적에 대해 K-패스 혜택이 적용된다.

 

한편, 대광위는 경기도, 인천시와 협력하여 K-패스를 이용하는 경기·인천 주민에게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K패스-경기(The경기패스*), K패스-인천(인천 I-패스**) 사업도 51일부터 시행한다

 

* 60회 초과 이용건도 무제한 지원, 청년 범위 확대(19~3419~39)

** 60회 초과 이용건도 무제한 지원, 청년 범위 확대(19~3419~39), 65세 이상 추가 지원(20%+10%=30% 환급)

 

대광위는 경기·인천 외에도 부산 등 다른 지자체와도 협력K-패스와 지자체 지원사업을 연계하는 지역맞춤형 K-패스 사업을 지속 발굴하여, 지원혜택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강희업 위원장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위기에 대한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 탄소 배출이 적어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으로서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대중교통 이용장려하고, 고물가 시기에 대중교통비 부담완화하는 정책적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모색한 K-패스드디어 출시된다

 

보다 많은 국민이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40여개 지자체와 지속 협의해나고, 쉽고 편리한 이용 환경을 만들기 위해 이용자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경청하며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하는 한편

 

앞으로 K-패스는 전국의 많은 국민들께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어 명실상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교통비 지원정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들께서 부담 없이 대중교통이용하실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참고1
카드사별 K-패스 카드 주요 특징

 

* 카드사별 자세한 혜택, 신규 카드 발급 이벤트 등은 카드사 홈페이지, 카드 안내장 등 확인 필요

 

참고2
K-패스 참여 지자체
’24.5월 기준 기초 시군구(229)
권역 광역(기초 수) ’24년 참여(189)
=’23(176) + ’24년 신규(13)
미참여(40)


서울(25) 종로(’19.10), 강남(’19.10), 서초(’19.10),
구로(’20.4), 중구(’20.4) 서울 전체(’20.7)
-
인천(10) 인천 전체(’19.6) -
경기(31) 수원(’19.6) 경기 전체(’19.7) -


대전(5) 대전(’19.6) -
세종(1) 세종(’19.6) -
충북(11) 청주(’19.6), 옥천(’20.1), 제천(’21.1), 충주(‘23.1), 음성·진천·보은·영동·증평·괴산·단양(’24.5) -
충남(15) 아산·천안(‘20.4) 충남 전체(’22.1) -


광주(5) 광주(’19.10) -
전북(14) 전주(’19.6), 익산(’20.1), 남원(’20.1), 완주(’20.1), 군산(’20.4), 정읍(’22.10) 10만명~ -
510만명 김제, 고창, 부안
~5만명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전남(22) 순천(’21.1), 무안(’21.1), 신안(’21.1),
여수·목포·해남(’22.1), 광양(’22.8), 나주(’22.9), 담양(‘23.1), 장성(’24.5)
10만명~ -
510만명 고흥, 화순, 영암, 영광
~5만명 곡성, 구례, 보성, 장흥, 강진, 함평, 완도, 진도


부산(16) 부산(’19.6) -
대구(9) 대구 전체(군위군 편입(‘23.7)) -
울산(5) 울산(’19.6) -
경북(22) 포항(’19.6), 영주(’19.6), 경주(’20.1), 김천(’21.1), 영천(’21.1), 구미, 상주(’22.1), 칠곡(’22.9), 경산, 안동(‘23.1) 10만명~ -
510만명 문경, 예천, 의성
~5만명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울진, 울릉
경남(18) 양산(‘19.6), 거제·김해·밀양·산청·진주· 창녕·창원(’20.1), 통영·고성(‘20.4), 사천·함안(’22.1) 경남 전체(‘23.1) -
기타 강원(18) 춘천(’21.6), 강릉(’22.1), 원주(’22.6),
홍천·양양(‘23.7), 동해·삼척·태백·횡성·영월(’24.5)
10만명~ -
510만명 속초
~5만명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제주(2) 제주(’21.1), 서귀포(’21.1) -

기초 시군구 숫자(229)는 행안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21.12.31)’자료의 226개 기초 지자체 수에 세종시 및 제주도 제주·서귀포시(행정시·자치구가 아닌 구)를 구분 집계한 숫자(2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