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등기/69-74조 용익권등기

임차권설정등기의 차임을 임차인의 연매출의 일정비율로 기재할 수 있는지 여부 (적극)

모두우리 2024. 11. 8. 10:45
728x90

임차권설정등기의 차임을 임차인의 연매출의 일정비율로 기재할 수 있는지 여부 (적극)
제정 2010. 8. 27. [등기선례 제201008-4호, 시행 ]
 
임대차계약의 내용은 사적자치의 원칙에 의해 당사자들이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므로 차임에 대해서도 임차인의 연매출의 일정비율로 정하는 계약도 가능하며, 등기부상 차임에 대한 기재를 가변적인 비율(예를 들어, 연 매출이 400억 미만일 경우 : 차임 없음, 연매출이 400억 이상 500억 미만일 경우 : 연매출의 2.0%, 연매출이 500억 이상 600억 미만일 경우 : 연매출의 2.5%, 연매출이 600억 이상 700억 미만일 경우 : 연매출의 3.0%, · · ·연매출이 1,000억원 이상일 경우 : 연매출의 4.2%)로 하더라도 차임등기의 제도적 취지에 반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임차권설정등기를 신청할 수 있다. 

(2010. 8. 27. 부동산등기과-1691 질의회답)

참조조문 : 민법 제618조, 제621조, 부동산등기법 제156조
 

민법
일부개정 2009. 5. 8. [법률 제9650호, 시행 2009. 8. 9.] 법무부
 
제618조(임대차의 의의)

임대차는 당사자일방이 상대방에게 목적물을 사용, 수익하게 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이에 대하여 차임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긴다. 
민법
일부개정 2009. 5. 8. [법률 제9650호, 시행 2009. 8. 9.] 법무부
 
제621조(임대차의 등기)

① 부동산임차인은 당사자간에 반대 약정이 없으면 임대인에 대하여 그 임대차등기절차에 협력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② 부동산임대차를 등기한 때에는 그때부터 제삼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부동산등기법
타법개정 2010. 6. 10. [법률 제10366호, 시행 2012. 6. 11.] 법무부
 
제156조(임차권)

① 임차권의 설정 또는 임차물의 전대(전대) 등기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청서에 차임(차임)을 적어야 한다. 이 경우 등기원인에 존속기간, 차임의 선지급(선지급) 및 그 지급시기나 임차보증금의 약정이 있을 때 또는 임차권의 양도나 임차물의 전대에 대한 임대인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이를 적고, 임대차를 한 자가 처분의 능력 또는 권한이 없는 자인 경우에는 그 뜻을 적어야 한다. 

② 임차권의 양도 또는 임차물의 전대에 대한 임대인의 동의가 있다는 뜻의 등기가 없는 경우에 임차권의 이전 또는 임차물의 전대의 등기를 신청할 때에는 신청서에 임대인의 동의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8.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