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최종 확정 |
- 생명이 깨어나는 강, 새로운 대한민국 -
□정부는 6월 8일 국토해양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마스터플랜을 최종 확정했다.
ㅇ마스터플랜은 지난 4월 27일 정부합동보고회에서 중간성과를 보고한 이후, 4대강 인근 12개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설명회(5.7~5.19, 12회), 관계부처․학회 등의 추천을 받은 전문가 그룹의 자문(5.14~5.15) 및 물환경학회․수자원학회 등 관련학회 토론(5.21~5.22), 전문가․시민 등이 참여한 공청회(5.25) 등을 통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확정하게 된 것이다.
□확정된 마스터플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기후변화 대비, 자연과 인간의 공생, 지역균형발전과 녹색성장 기반 구축, 국토재창조”를 목표로 5大 핵심과제 추진
①향후 물 부족(’11년 8억㎥, ’16년 10억㎥)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보 설치, 중소규모 댐 건설, 농업용 저수지 증고 등을 통해 충분한 수자원(총 13.0억㎥)를 확보
②갈수록 빈발하는 대규모 홍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0년 빈도 이상의 홍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퇴적토 준설, 노후제방 보강, 댐 건설 등을 추진(홍수조절용량 9.2억㎥ 확보)
③하수처리시설 확충과 녹조저감시설 설치 등으로 ’12년까지 본류 수질을 평균 2급수(BOD 3㎎/L 이하) 수준으로 개선하고, 생태하천 및 습지 조성, 농경지 정리 등을 통해 생태를 복원
-특히, 4대강 살리기를 통해 수질이 확실히 개선되도록 수질오염이 심한 34개 유역을 집중 개선하고, 이중 경안천, 금호강, 갑천, 미호천, 광주천 등 5개 유역에 최우선 투자하여 본류 뿐만 아니라 지류의 수질도 개선
-아울러, 4대강 추진본부에 수질․환경 분야를 담당하는 局단위 전담조직을 설치하여 수질대책을 총괄
④하천을 생활․여가․관광․문화․녹색성장 등이 어우러지는 다기능 복합공간으로 개조하기 위하여 자전거길 조성, 체험관광 활성화, 산책로․체육시설 설치 등을 확대
⑤금수강촌 만들기, 문화가 흐르는 4대강 등 강 살리기로 확보되는 인프라와 수변경관을 활용한 다양한 연계사업 추진으로 지역 발전에 기여
ㅇ핵심과제 추진을 위한 사업내용은 본사업, 직접연계사업 및 연계사업으로 구분
-본사업은 물확보․홍수조절 등을 위해 4대강 본류에 시행하는 사업으로 국토부․농식품부․환경부가 시행
구 분 |
사 업 |
물 량 | ||||
계 |
한 강 |
낙동강 |
금 강 |
영산강 | ||
국 토 부 |
준 설 |
5.7억㎥ |
0.5 |
4.4 |
0.5 |
0.3 |
보 |
16개 |
3 |
8 |
3 |
2 | |
생태하천 |
537㎞ |
127 |
213 |
124 |
73 | |
제방보강 |
377㎞ |
75 |
214 |
71 |
17 | |
댐, 조절지 |
5개 |
- |
3 |
- |
2 | |
자전거길 |
1,206㎞ |
189 |
549 |
248 |
220 | |
농식품부 |
농업용저수지 |
87개 |
12 |
31 |
30 |
14 |
환 경 부 |
수질개선(총인처리) |
353개 |
106 |
124 |
99 |
24 |
-직접연계사업은 섬진강 및 주요지류 국가하천(대도시 통과, 다목적댐 하류) 정비와 하수처리시설 등의 확충을 위한 수질개선 사업
구 분 |
사 업 |
물 량 | ||||
계 |
한 강 |
낙동강 |
금 강 |
영산․섬진강 | ||
국 토 부 |
생태하천 |
392㎞ |
66 |
194 |
75 |
57 |
제방보강 |
243㎞ |
56 |
121 |
46 |
20 | |
자전거길 |
522㎞ |
116 |
194 |
- |
212 | |
농식품부 |
농업용저수지 |
9개 |
- |
- |
- |
9 |
환 경 부 |
수질개선 |
1식 |
1식 |
1식 |
1식 |
1식 |
-연계사업은 문화․관광 등 강살리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사업으로 각 부처별 계획에 따라 연차별 시행
․ 국토해양부 : 4대강 유입 지방하천 정비
․ 농수산식품부 : 금수강촌 만들기 ․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가 흐르는 4대강
․ 지식경제부 : 신재생에너지, IT 산업 ․ 산림청 : 4대강 유역 산림정비
․ 소방방재청 : 4대강 유입 소하천 정비
ㅇ4대강 살리기 본사업비는 16.9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어 작년 12월 15일 발표된 추정사업비 13.9조원 보다 3조원이 증가하였으며, 사업비가 증가한 주요사유는 지역건의 사항 반영 등에 따른 사업물량 증가와 수질개선을 위한 별도의 사업비(0.5조원)를 반영하였기 때문임
-직접 연계사업에 소요되는 사업비는 섬진강 및 주요지류 1.9조원, 수질개선 3.4조원 등 총 5.3조원임
* 수질개선을 위해 본사업 0.5조원, 직접연계사업 3.4조원 등 총 3.9조원을 투입하여 수질목표(2급수)를 당초 2015년에서 2012년으로 조기 달성
-연계사업 소요 사업비는 각 부처가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추진
ㅇ사업기간은 본사업은 2011년까지 완료하고, 댐․농업용저수지와 직접연계사업은 2012년 완료
ㅇ사업발주는 준설․보․생태하천 등 하천사업의 경우 구간별 특성, 소요공기 등을 감안하여 턴키와 일반공사로 구분하여 발주하며, 댐․농업용저수지 등은 수자원공사․농어촌공사 등 관련 공기업이 발주계획을 마련하여 시행
-신규발주 하천사업은 사업추진 효율성 등을 위해 국토부와 지자체가 분담하여 발주할 계획으로, 보 설치 등 중요구간은 국토부가, 지류하천 사업 등 단순공사는 지자체가 각각 발주할 계획
-또한, 발주일정도 기술자 수급현황, 적정 공기 등을 감안하여 금년 하반기 1차(턴키 10월, 일반 11월), 내년 상반기 2차(턴키 2월, 일반 3월) 등 2단계로 나누어 착공할 계획
ㅇ사업추진은 현재 진행중인 사전환경성 검토와 하천기본계획 변경을 6월 중순까지 완료하고, 환경영향평가, 문화재조사, 예비타당성 조사 등은 관련 법령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시행하여 착공전까지 완료할 계획
□정부는 이러한 사업계획 이외에도 향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방안도 함께 발표했다.
ㅇ4대강 사업의 하천구역내 경작지는 전체에 대해 보상하여 수질개선과 생태복원에 기여할 계획으로, 원활한 보상을 위해 4대강 주변 65개 시․군과 보상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물건조사를 6월말까지 완료하고 7월부터 본격 보상에 착수
ㅇ준설토는 골재(모래)와 사토로 구분하여 처리할 계획으로 모래는 지자체와 함께 다수의 적치장을 확보하여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수급조절하며 중장기 판매할 계획이며, 사토는 4대강 인근 국가산단 및 저지대 농경지 보강 사업 등의 성토재로 사용할 계획
ㅇ환경영향평가는 환경관련 D/B 정보의 최대한 활용 등으로 충실하게 추진하며, 문화재는 지표조사(’09.2~4) 결과 시발굴조사가 필요한 구간(407건)에 대해 체계적 조사 추진
ㅇ사업완공후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홍수예보 등에 IT 기술을 접목한 최신관리 기법을 도입하고 유지관리 조직도 보강
□정부는 4대강 살리기를 시작으로 전국의 하천을 단계적으로 정비해 나갈 계획으로, 이번에는 재정여건 등을 감안하여 4대강 본류 및 주요지류를 우선 정비하고, 나머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은 2010년까지 별도의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정비해 나갈계획이다.
□정부는 4대강 살리기를 통해 다양한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ㅇ특히, 선택과 집중을 통해 기존 “사후복구”에서 “사전예방” 위주의 투자로 전환함으로써 4대강 유역의 수해로 인한 연평균 피해액(1.5조원)과 복구비(2.4조원)를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질개선, 물 확보, 문화․관광 활성화 등의 간접 편익도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ㅇ또한, 홍수․가뭄 방지와 수질문제 해결 등 기후변화로 인한 물위기에 대비할 수 있으며, 수자원 기술발전과 우리기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여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물관리 선진국”으로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첨부≫ 1. 강별 사업비(물량), 사업계획도
2. 질의 응답 자료
4대강 살리기 본사업비 |
사업내용 |
합계 |
한 강 |
낙동강 |
금 강 |
영산강 | ||||||
수량 |
사업비 |
수량 |
사업비 |
수량 |
사업비 |
수량 |
사업비 |
수량 |
사업비 | ||
합 계(억원) |
- |
169,498 |
- |
20,435 |
- |
97,875 |
- |
24,727 |
- |
26,461 | |
국토부 |
소 계 |
|
136,794 |
|
`17,741 |
|
88,872 |
|
16,598 |
|
13,583 |
하도정비(준설) |
5.7억㎥ |
51,599 |
0.5억㎥ |
3,798 |
4.4억㎥ |
41,897 |
0.5억㎥ |
3,720 |
0.3억㎥ |
2,184 | |
보 |
16개소 |
15,091 |
3개소 |
2,779 |
8개소 |
8,454 |
3개소 |
2,023 |
2개소 |
1,835 | |
생태하천 조성 |
154개소 537km |
21,786 |
51개소 127km |
4138 |
52개소 213km |
9,084 |
41개소 124km |
5772 |
10개소 73km |
2,792 | |
제방보강 |
85개소 377km |
9,309 |
30개소 75km |
2,423 |
26개소 214km |
3,477 |
26개소 71km |
2,371 |
4개소 17km |
1,038 | |
강변저류지 |
4개소 |
3,321 |
2개소 |
2,644 |
1개소 |
103 |
- |
- |
1개소 |
574 | |
홍수조절지 |
2개소 |
2,785 |
- |
- |
- |
- |
- |
- |
2개소 |
2,785 | |
낙동강 하구둑 |
1식 |
2,400 |
- |
- |
1식 |
2,400 |
- |
- |
- |
- | |
신규댐 |
3개소 |
12,056 |
- |
- |
3개소 |
12,056 |
- |
- |
- |
- | |
자전거 도로 |
1,206km |
1,409 |
189km |
244 |
549km |
653 |
248km |
303 |
220km |
209 | |
기 타 |
- |
17,038 |
- |
1,715 |
- |
10,748 |
- |
2,409 |
- |
2,166 | |
농림부 |
소 계 |
|
27,704 |
|
1,875 |
|
6,667 |
|
6,767 |
|
13,866 |
농업용 저수지 |
87개소 |
21,515 |
12개소 |
1,875 |
31개소 |
6,667 |
30개소 |
6,767 |
14개소 |
6,206 | |
영산강 하구둑 |
1식 |
6,189 |
- |
- |
- |
- |
- |
- |
1식 |
6,189 | |
환경부 |
수질대책 |
353개소 |
5,000 |
106개소 |
819 |
124개소 |
2,336 |
99개소 |
1,362 |
24개소 |
483 |
1. 운하의 전단계가 아닌지? |
□4대강 살리기는 홍수피해 예방, 물부족 해소, 수질개선 등 시급한 물 문제를 해결하고,
ㅇ강을 통해 문화․관광자원을 개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등 우리 국토를 새롭게 재탄생시키는 사업임
□따라서, 화물선 운행을 위한 갑문, 터미널 등의 설치계획이 없고, 수심과 저수로폭도 구간별로 일정하지 않으므로 대운하와 비교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
≪4대강 살리기와 대운하의 차이점≫
구 분 |
4대강 살리기 |
대 운 하 | |
준설 |
목적 |
홍수소통공간 및 물확보를 위한 저수공간 확보 |
화물선 운행을 위한 주운수심 확보 |
굴착 |
둔치와 저수로를 굴착 |
저수로를 굴착 | |
저수로 |
선형은 자연하천 형상 유지 폭도 일정하지 않음 |
선형은 직선화 폭도 전구간 200~300m로 일정 | |
보 |
목적 |
수량확보, 수변경관 조성, 레저․관광 등 |
주운수심 확보를 위한 수위유지 |
규모 |
높이 5~10m (중소규모) |
높이 최소 20m (대규모) | |
갑문 |
없음 |
있음 | |
확보 수심 |
구간별로 확보 수심이 다름 |
전구간 최소 6m 이상 확보 필요 | |
교량 개수 |
불필요 |
형하고가 부족한 교량은 대체교량 신설 필요 |
2.낙동강에서 약 10억㎥의 용수를 추가 확보하는 사유는? |
□ 2006년 수립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따르면,
ㅇ낙동강은 2016년 기준으로 약 1.4억톤의 물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만성적인 물부족과 수질악화 문제 발생
ㅇ또한, 동계획에서는 최근 수요가 급증하는 환경개선용수의 증가분을 반영하지 못하였음
* 현재까지의 연구결과 약 5억톤 추가 소요예상
□4대강 살리기를 통해 낙동강 유역에 약 10억㎥의 물을 확보하려는 것은
ㅇ홍수방어를 위한 퇴적토 준설(4.4억㎥)로 커지는 물 그릇을 최대한 활용하고
ㅇ장래 물부족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한 것임
□부수적으로 확보된 수심과 넓은 수면을 활용한 친수․레저 공간이 대폭 확대되는 효과도 있음
3. 낙동강은 그동안 2억㎥를 준설하여 하상이 낮아진 상태인데 4.4억㎥을 준설하는 이유? |
□그동안 실시한 준설은 홍수방어 목적이 아니라 지자체별로 일관성 없이 골재 채취를 목적으로 실시해 왔음
ㅇ이에 따라 국부적으로 하상이 많이 낮아진 곳이 있으나 강 전체의 홍수방어에는 효과가 제한적
□마스터플랜에서 제시된 낙동강 준설량은
ㅇ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강수량과 홍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감안하여 200년 빈도의 홍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통수단면을 확보하고
ㅇ장래 물부족에 대비할 수 있는 물그릇 확보에 기준을 두고 4.4억㎥을 준설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음
4.홍수피해 예방 대책을 본류부터 시행하는 이유는? |
□기본적으로 본류와 지류하천 전체를 대상으로 정비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ㅇ투자효율성을 고려하고 “선택과 집중”의 원리에 따라 4대강 본류 및 주요 지류(지방하천 포함)를 우선 정비하고,
ㅇ나머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은 2010년까지 별도의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정비할 계획
□본류를 먼저 정비하는 것은
ㅇ대도시가 인접한 4대강 본류에 홍수가 발생하면 광범위한 피해가 우려되며,
* 지난 ‘90년 대홍수시 한강본류가 범람직전까지 갔었고,
’02~‘03년 태풍 매미․루사로 낙동강 제방이 붕괴된 사례가 있음
ㅇ본류에 과도하게 쌓인 퇴적물로 인해 물이 지류로 역류할 경우 지류에도 함께 피해가 발생
ㅇ본류정비로 홍수위가 낮아지면 지류의 수위도 함께 낮아져 본류 뿐만 아니라 지류의 피해도 막아주는 효과가 있음
* 지류만 정비할 경우 치수효과가 지류유역에 국한
5. 보를 잘못 운영하면 홍수위험이 가중되는 것이 아닌지? |
□4대강 살리기에서 설치하는 보는 기존의 고정식 보가 아니라 수문이 설치된 가동보로 계획
ㅇ홍수예보를 통해 사전에 수위를 조절하고,
홍수시에는 상하류댐․농업용저수지 등과 연계하여 수문을 조작함으로써 홍수 소통에 문제가 없도록 운영할 계획
ㅇ현재 우리나라는 15개의 다목적 댐을 잘 운영하여 홍수와 가뭄에 대응하고 있음
□향후, IT 기술을 접목한 종합하천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수위와 유량을 측정․관리함으로써 홍수와 가뭄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임
6. 보를 16개 설치하는 4대강 사업이 수질을 개선한다는 근거는? |
□보를 막는다고 해서 반드시 수질이 나빠지는 것은 아니며, 오염원 관리, 유량 변화 등에 따라 수질이 개선될 수 있음
□4대강 살리기 사업에서는 당초 ’15년 목표였던 “좋은물” 달성을 집중투자를 통해 ’12년으로 앞당길 계획
ㅇ이를 위해, 수질오염이 심한 34개 유역을 집중투자하고 이중 5개 유역에 최우선 투자
ㅇ환경기초시설 확충 및 고도화를 통해 하수도 보급률을 높이고, 비점오염 저감대책도 추진
□특히, 갈수기에는 댐건설(2.5억㎥)과 농업용저수지 증고(2.5억㎥) 등을 통해 확보된 수량을 하천유지용수로 방류함으로써 수질개선에 기여
7. 마스터플랜이 짧은 기간에 작성되어 연구가 불충분하며 의견수렴도 부실한 것이 아닌지? |
□마스터플랜은 그동안 축적된 광범위한 하천․수자원 분야 연구 및 기초조사 결과*를 토대로
* 하천기본계획, 유역종합치수계획, 유역조사,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댐건설장기계획 등
ㅇ물관련 분야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으로 국토연구원, 수자원공사 등 다양한 기관이 함께 연구를 수행하였음
ㅇ또한, 지난 12월부터 지자체로부터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건의 받아 사업계획에 반영하였으며,
ㅇ전문가 자문(5.14~5.15), 위원회․관계기관 협의(5.11~5.20), 지역설명회(5.7~5.19), 공청회(5.25) 등을 통해 각계의 다양한 의견도 수렴하였음
□향후, 설계․시공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의견을 수렴해 추진할 계획
8. 환경영향평가를 제대로 받지 않는 것이 아닌지? ․ 4~5개월 만에 제대로 된 환경평가가 가능한지? |
□마스터플랜 수립, 하천기본계획 변경, 사전환경성검토가 동시에 진행되므로 4~5개월만에 환경평가가 완료되는 것은 아님
ㅇ마스터플랜 수립 착수(‘08.12) 전부터 하천기본계획 보완 및 이에 따른 사전환경성검토가 이미 진행중에 있었으며,
* 하천기본계획․사전환경성검토 추진상황 : 남한강(’03.5~’09.6), 낙동강(’03.12~’09.6), 금강(’07.11~’09.6), 영산강(’07.8~’10.6)
ㅇ마스터플랜 수립과 동시에 새롭게 추가․변경된 사업계획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사전환경성검토를 진행한 것임
□아울러, 4대강 사업에 대한 내실 있고 충실한 환경평가를 위해 지방청별로 "환경평가단"을 운영중에 있음(‘09.1월, 총87명)
ㅇ환경평가의 객관성 및 신뢰성 제고를 위해 KEI, 지역전문가, 관계 공무원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ㅇ계획수립 초기부터 평가서 작성․협의시 까지 全 과정에 걸쳐 환경평가단이 참여, 환경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친환경적 대안에 대해 기술적 자문을 실시하고 있음
□또한, 효율적인 환경평가를 위해 우리부에서 보유한 4대강별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등 평가서가 내실 있게 작성되도록 지원 중에 있음
* 수질측정자료, 환경영향 D/B,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등
9. 4대강 사업으로 강변 모래밭이 사라지는 것은 아닌지? |
□4대강 살리기는 둔치의 퇴적 등으로 사라지고 있는 모래밭 등 자연적인 하천의 모습이 복원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음
□퇴적토 준설시 1 : 5 이상의 완경사 저수로를 만들어
모래밭이 형성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ㅇ빠른 유속에 모래밭이 유실될 가능성이 있는 구간은 침식을 방지하는 시설물(자연형 호안, 수제 등)을 설치할 계획
□또한, 보를 설치하는 구간은 수위를 둔치 이하로 유지하여 모래밭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계획하였고,
ㅇ사업과정에서 아름다운 모래밭은 최대한 보전하며, 비닐하우스 설치 등 경작으로 훼손된 구간을 복원할 계획
10. 농업용저수지를 증고하는 사유는? |
□농업용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건설․관리 되어 왔으나,
ㅇ장래 물부족과 이상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기존 시설의 최적활용 차원에서 증고를 통한 추가 용수 확보를 추진
ㅇ추가 확보되는 물은 갈수기에 집중 방류하여 본류의 유량을 증대하여 수질개선에 기여하고, 지류의 건천화도 방지
ㅇ아울러, 증고로 늘어나는 공간은 홍수시 저류공간으로 활용 가능
* 증고대상 저수지는 전국 17,600여개 중 추가용수 확보가 가능하면서, 환경영향․수몰면적 등이 작은 96곳 선정(농어촌공사)
□향후, 농업용저수지는 상하류 댐과 연계운영하여 가뭄․홍수 등에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등 효율적 수자원 관리 도모
11. 준설로 홍수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인지? |
□기후변화에 따라 홍수가 심화되고 있으나 “제방을 높이 쌓는” 일차원적 대책으로는 한계
* 제방누수, 제내지 침수피해 가능성 증가
* 낙동강은 제방누수로 인한 피해 빈발
: ’02.8월 태풍 루사시 백산제(경남 함안), 함안제(경남 합천) 붕괴 등
□퇴적토 준설은 통수단면을 늘리고 홍수위를 낮추어(0.4~4m) 하천범람 방지와 제방에 미치는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물 그릇을 키워 보 설치시 물도 확보 할 수 있음
ㅇ따라서, 가능한 범위내에서 퇴적토를 최대한 준설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유역내 저류공간도 확충할 계획
* 저류공간 확충 : 댐(3)․조절지(2)․저류지(4) 건설
□참고로, 네덜란드*와 일본** 등에서도 준설을 통해 홍수방어 능력을 증대한 사례가 있음
* 네덜란드 라인강(“Room for the River") : 저수로․둔치 준설 및 제방후퇴 등
** 일본 요도가와(淀川) : 준설을 통한 통수단면적 증대
12.?하천법?에 따른 유역종합치수계획 등이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것은 순서가 바뀐 것이 아닌지? |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은 홍수방어 대책 뿐만 아니라
ㅇ물 확보, 수질개선과 생태복원, 강과 주변지역의 체계적 정비 등을 위한 정책방향과 밑그림을 제시하는 신개념의 포괄적 계획임
□따라서, 마스터플랜을 먼저 수립하고,
ㅇ제시된 정책방향에 따라 법정계획인 「유역종합치수계획」과 「하천기본계획」 등을 변경하는 것임
13. 작년 12.15일 균형위에 보고된 내용에 비해 사업 물량이 변동되었는데 그 사유는? |
□당초 발표안(’08.12.15) 대비 사업물량이 증가
ㅇ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가뭄․홍수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준설․보설치 등 물그릇 확보를 위한 물량이 증가
ㅇ또한, 수질개선 대책 사업을 신규로 반영
(단위 : 억원)
구 분 |
당초 |
변경 |
증감 | |||
수량 |
사업비 |
수량 |
사업비 |
수량 |
사업비 | |
합 계 |
|
138,776 |
|
169,498 |
|
30,722 |
1. 준설 |
2.2억㎥ |
26,801 |
5.7억㎥ |
51,599 |
3.4억㎥ |
24,798 |
2. 보 설치 |
4개소 |
114 |
16개소 |
15,201 |
12개소 |
15,087 |
3. 생태하천 |
760.2km |
22,811 |
537km |
21,715 |
△223.2km |
△1,096 |
4. 제방보강 |
536.1km |
14,931 |
377km |
9,416 |
△159.1km |
△5,515 |
5. 댐, 조절지, 낙동강하구둑 |
6개소 |
33,399 |
6개소 |
17,241 |
- |
△16,158 |
6. 농업용저수지 영산강하구둑 |
97개소 |
22,864 |
88개소 |
27,704 |
△9개소 |
4,840 |
7. 수질대책 |
- |
- |
1식 |
5,000 |
1식 |
5,000 |
8. 기타 |
- |
17,856 |
- |
21,622 |
- |
3,766 |
14. 다른 강에 비해 낙동강에 사업물량이 집중되었는데 그 이유는? |
□낙동강은 다른 강에 비해 길이가 길고, 홍수․가뭄 등에도 취약함에 따라 사업물량이 집중
ㅇ특히, 댐 홍수조절용량 부족으로 홍수에 취약하며,
* 댐 홍수조절용량이 낙동강(5.4억㎥)은 한강(13.9억㎥)의 1/3에 불과
ㅇ중상류 지역은 만성적인 수량 부족을 겪고 있고 하류지역은 갈수기 수질 악화
□또한, 과거에도 전체 국가하천 정비사업비의 50% 정도가 낙동강에 투입되어 왔음
* ’08년 국가하천정비사업비 3,300억원 중 1,835억원(56%)을 낙동강에 투입
□참고로, 유역면적당 사업비는 영산강이 가장 높으며,
하천연장당 사업비는 낙동강과 영산강이 비슷한 수준임
구 분 |
한 강 |
낙동강 |
금 강 |
영산강 |
A. 사업비(억원) |
20,435 |
97,875 |
24,875 |
26,461 |
B. 유역면적(㎢) |
25,954 |
23,384 |
9,912 |
3,468 |
C. 하천연장(㎞) |
494 |
506 |
395 |
138 |
유역면적당 사업비 (A/B) |
0.79 |
4.19 |
2.51 |
7.63 |
하천연장당 사업비 (A/C) |
41.4 |
193.4 |
63.0 |
191.7 |
15. 수질이 양호한 4대강 본류보다 지류의 수질개선이 우선이라는 주장에 대한 의견 |
□수질개선 사업은 본류와 지류로 구분하여 시행하는 것이 아니며,
ㅇ유역전체에서 발생되는 오염원이 강으로 유입되지 않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함
□4대강 살리기에서도 환경기초시설 확충 등의 수질개선 대책은 유역단위로 시행하여 오염원이 강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추진할 계획임
ㅇ이를 위해, 4대강 66개 유역중 오염이 심한 34개 유역을 집중 개선하고, 이중 오염도가 가장 높은 5개 유역*에 최우선 투자할 계획임
* 경안천(한강), 금호강(낙동강), 갑천․미호천(금강), 광주천(영산강)
16. 준설 등 하천공사시 수질 및 수생태계, 취수원에 미치는 영향 방지 대책은? |
□하천공사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유토사 등 수질오염을 미리 예방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 방제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중
ㅇ부유토사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오탁방지막 설치, 진공 흡입식 준설공법 활용, 가배수로 설치 등의 대책을 착공 전에 매뉴얼로 마련하여 제공
ㅇ사고 발생시 신속 방제를 위해 “4대강 수질오염 종합 방제센터”를 구성․운영하는 방안도 검토 계획
□공사중 대체 서식지 조성, 보호종 인공배양시설 구축 등 수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하는 대책도 강구할 계획
□사업구간내 생활용수 취수장(60개소)에 대해서는 취수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현지여건에 맞는 대처방안을 착공전까지 마련할 계획
*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취수문제 해소방안 연구
․기간 : ’09.5~8(1억원) ․수행 : 한국수자원공사
․주요내용 : 사업구간내 취수장 현황 파악, 오염원 분석 및 대처방안 마련, 지자체 등 관계기관 협조방안 등
17. 홍수기 공사대책은 마련되어 있나? |
□보 설치 등 하천공사 시행시 면밀한 홍수기 안전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
ㅇ홍수기 중에는 홍수소통에 지장이 없는 공사만 시행하는 등 공정을 조정하여 시행하며,
ㅇ필요시 임시배수로를 설치하고 가물막이 설치를 통한 육상 준설 등 구간별 특성을 감안한 대책을 추진 계획
□충주․대청․팔당댐 등 댐 건설과 한강종합개발 등 유사한 시공 실적이 많으며 현재 우리나라 건설기술 등 감안시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
18. 하천내 경작지 보상은 어떻게 시행할 계획인지? |
□4대강 살리기 사업에서는 하천구역내 경작지 전체를 보상․정리하여 수질개선과 생태복원에 기여할 계획
* 선진국에서는 대부분 하천내 경작을 금지
ㅇ보상은 영농보상의 경우 점용허가를 받은 경작자에게
2년간의 영농비를 지급하고, 비닐하우스 등 지장물은
감정평가결과에 따라 지급
□보상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는 등 유기적 협조체계를 구축하였으며,
* 4대강 인근 65개 시군 전체에 대해 협약 체결 완료
ㅇ지방청에 설치된 보상센터를 활용하여 주민 면담을 강화하는 등 집단민원에 적극 대응
□보상은 물건조사 등을 거쳐 금년 7월부터 본격 착수하여 사업착공에 지장이 없도록 내년초까지 완료 계획
19. 본류 전 구간을 동시 다발적으로 공사하면 전 구간에 걸쳐 탁수 등 수질오염 문제가 발생한다는데? |
□축적된 탁수 방지 기술을 이용하여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신속하게 방제할 수 있는 대책을 추진할 계획
ㅇ수량이 많은 곳은 선박을 이용한 진공흡입식 준설, 수량이 적은 경우 가물막이․우회수로․오탁방지막 등을 설치하여 탁수발생을 최소화
* ①․② : 가물막이, 우회수로, ③․④ : 오탁방지막, 침사지
ㅇ공사 차량․선박 등으로부터 유류가 유출될 경우에도 유형에 따라 웅덩이․오일휀스를 설치하고 흡착포 등으로 신속 수거
* 오일휀스 설치 : ③ 우선 설치, ①․② 추가 설치, ④ 안전 확보용
□한편 탁수 등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신속 방제하기 위해 방제 매뉴얼을 마련 중이며, 통합방제센터 설립을 추진할 계획
20. 동시 다발적 공사에 따른 탁수발생, 낙동강 산업폐수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취수대책이 있는가? |
□탁수 등에 의해 먹는 물 공급이 지장을 받지 않도록
ㅇ탁수발생 시 정수장의 여과속도 감소․응집제 주입율 조정 등을 통해 정수효율을 강화할 계획
ㅇ보 설치에 따른 수위변동과 준설로 인해 개․보수가 필요한 취수장은, 사전에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조하여 먹는 물 공급이 지장을 받지 않도록 적기에 개․보수할 계획
※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취수문제 해소방안 연구 용역 중(‘09.5-8월, 1억원, 수자원 공사)
□산업폐수 관리대책을 추진할 계획
ㅇ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산업단지․공업지역에 오염사고 방지 완충저류지(10개)를 설치하고
ㅇ대규모 공장 등에 TMS 부착 완료(‘10), 오염사고 감시를 위한 수질자동측정망을 확충(29개)하여 오염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ㅇ산업폐수에 포함된 미지의 유해물질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생태독성 배출기준 관리 제도를 ‘11년부터 본격 시행 계획
□아울러,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강변여과․하상여과 등 간접취수원 확보에도 노력할 계획
* 현재 낙동강 본류 19개 지점을 대상으로 간접취수 가능 타당성 조사중
'부동산일반정책 > 부동산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은행 출범, 올해 첫사업으로 도로, 산업단지 등 토지비축 추진 (0) | 2009.06.19 |
---|---|
기반시설 표준 시설비용 (0) | 2009.06.11 |
당진-대전·서천-공주 고속도로 개통-뉴시스 (0) | 2009.05.28 |
강남권 2곳 보금자리주택 '시큰둥'-머니투데이 (0) | 2009.05.13 |
‘하남’ 빼곤 잠잠… 개발 진행땐 땅값 뛸수도-경향 (0) | 2009.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