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시행령」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 임대차위원회 신설,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확대(6개소→18개소) -
□ 개정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상가건물임대차위원회 신설, △분쟁조정위원회의 전국 단위 확대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상가건물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개정안이 10월 13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였다.
ㅇ 국무회의를 통과한 개정 시행령은 대통령 재가 및 공포를 거쳐 1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 이번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상가건물임대차위원회를 신설 운영
ㅇ 상가임대차법의 적용 범위를 정하는 기준인 보증금액의 범위 및 최우선변제 대상인 임차인과 보증금 중 일정액의 적용 범위와 기준을 상가건물임대차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으로,
- 이번 개정은 상가건물임대차위원회의 구성‧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대통령령으로 구체적으로 정하는 사항이다.
- 이미「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도 ‘주택임대차위원회’(‘09.5.8.신설)를 두고 최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 및 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와 기준을 주택임대차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
② 분쟁조정위원회를 현재 6개소에서 18개소로 확대
ㅇ 임대인과 임차인 간 분쟁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분쟁조정위원회가 확대 설치된다.
ㅇ 그동안은 법률구조공단*에서만 분쟁조정위원회를 운영해왔으나, 분쟁조정위원회의 운영기관으로 LH와 한국감정원도 추가하는 등 현재 설치된 6곳 이외에 12곳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 현재 : 법률구조공단 서울중앙・수원・대전・대구・부산・광주 6개 지부
** ’20. 11. 1. 시행 : 인천・청주・창원(LH), 서울 동부・전주・춘천(한국감정원)
’21년도 설치계획 : 제주・성남・울산(LH), 고양・세종・포항(한국감정원)
'중개업·부실법·매매예약·분양 > 상가임대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차인이 임대인의 지위를 공동상속한 상속인들에 대하여 임차보증금의 반환을 구한 사건 (0) | 2021.02.02 |
---|---|
복수의 임대차계약서 중 어느 서면에 따라 계약 내용을 정할 것인지가 문제된 사건-2017다17603 임대차보증금반환 (0) | 2021.01.08 |
임대 계약기간이 끝났는데도 나가지 않고 계속 영업을 하자 전기를 끊어 영업을 방해한 임대인에게, 업무방해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한 사례 (0) | 2020.10.08 |
화재사건에서 피고들이 건물을 설치·보존함에 있어 사회통념상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정도의 방호조치의무 (0) | 2017.11.01 |
1층 천장 및 2층 바닥의 상수도관이 부식 파열되어 1층 임차인이 손해를 입은 경우-1층의 임대인이에게 배상책임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