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15개 후보구역 선정 |
뉴스테이 2.4만호 공급 가능한 물량 - |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16년 상반기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공모(`15.12.28일부터금년1.13일까지 접수) 결과, 공모에 참여한 37개 정비구역 중 서울 강북2구역 등 전국 6개 시․도, 15개 정비구역을 뉴스테이 정비사업 후보구역으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16년 상반기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후보구역 선정결과】
지역 |
선정 구역 (개) |
사업명 |
뉴스테이 공급가능 물량 (호) |
총계 |
15 |
- |
23,638 |
서울 |
1 |
강북2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333 |
경기 |
3 |
고양 능곡6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2,278 |
의정부 장암생활권3구역 재개발사업 |
603 | ||
파주 금촌2동2지구 재개발사업 |
666 | ||
인천 |
6 |
금송 재개발사업 |
1,942 |
송림초교주변 주거환경개선사업 |
1,384 | ||
도화1구역 재개발사업 |
1,524 | ||
부평4구역 재개발사업 |
1,784 | ||
미추8구역 재개발사업 |
2,744 | ||
송림1,2동(현대상가) 재개발사업 |
1,951 | ||
충남 |
1 |
천안 원성동 재건축사업 |
1,800 |
대구 |
1 |
내당내서 재건축사업 |
356 |
부산 |
3 |
우암1구역 재개발사업 |
1,776 |
우암2구역 재개발사업 |
2,691 | ||
감천2구역 재개발사업 |
1,806 |
□ 국토교통부는 공모접수를 마감한 지난 1.13일부터 한국감정원과 함께 지자체 자체평가 검증 및 현장실사 평가를 진행하였다.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후보구역 평가기준】
구분 |
배점 |
평가항목 |
평가기준 | |
지자체 자체평가(총 100점) | ||||
1. 정체기간 |
10 |
정비사업 정체기간 |
최초인허가 사항 기준 | |
2. 사업재개의 긴급성 |
30 |
정비구역 내 폐공가 비율 |
6개월간 수도사용실적 | |
정비구역 내 영세자 비율 |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소득자 | |||
3. 인센티브 제공 |
10 |
용적률 인센티브 제공규모 |
현재기준 법적상한 까지의 차이 | |
4. 임대사업성 |
50 |
주택보급률 |
기초자치단체 기준 | |
가구수증가율 |
최근 3년간 주민등록세대수 기준 | |||
교통환경여건 |
지하철역 등 교통시설수 | |||
주거편의여건 |
사업지 1km이내 편의시설수 | |||
현재 단지규모 |
주거시설기준 | |||
감정원 실사평가(총 20점) | ||||
뉴스테이 사업영향도 평가 |
3 |
정비계획 변경기간 검증(3) |
담당 공무원 인터뷰 및 그간 실적을 바탕으로 변경기간 검증 | |
3 |
지자체 경험과 노하우(3) |
담당 공무원 인터뷰를 통해 뉴스테이 추진 가능성 및 전문성 검증 | ||
4 |
전월세 상승률(4) |
전국 6개월 평균 전월세 상승률 보다 높은지 여부 (전세 : 0.36% / 월세 : 0.04%) | ||
5 |
임대사업 환경(5) |
대규모 산단 등을 방문하여 잠재적 임대수요 확인 | ||
5 |
임대주택 사업의 영향도(5) |
지자체별 이주수요 등 검증 |
* 총점(120) = 지자체 자체평가(100) + 감정원 실사평가(20)
ㅇ 특히, 한국감정원의 현장실사에서 담당 공무원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지자체가 제출한 행정지원 계획의 현실성, 뉴스테이 추진 의지를 검증하고,
- 지자체가 임대사업성의 근거로 제출한 대규모 산단 등을 방문하여 잠재적 임대수요를 확인하는 한편, 이주수요 영향도 검증하였다.
ㅇ 이후 지자체 자체평가에 대한 검증결과와 현장실사 결과를 종합하여 순위를 매긴 뒤, 지난 2.12일 뉴스테이 자문위원회를 개최, 37개 구역에 대한 종합 검토를 진행하였다.
- 그 결과, 사업재개의 긴급성 등 공익성은 물론, 임대사업성의 측면에서도 우수하다고 판단한 15개 후보구역을 최종 선정하였다.
- 인천시가 6곳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시, 경기도가 각각 3곳으로 그 뒤를 따랐으며, 선정된 15개 후보구역에서 모두 뉴스테이가 공급되는 경우 총 2.4만호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이번에 선정된 15개 후보구역의 정비조합은 조합 총회를 개최하여, 뉴스테이 도입을 의결하고, 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
ㅇ 정비구역으로 선정된 후보구역은 2.17일부터 6개월 이내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여야 하며, 기한 내 선정하지 못하는 경우 뉴스테이 정비사업 후보구역 선정을 철회할 예정이다.
-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과 가격협상을 완료한 정비조합은 지자체를 통해 국토부에 기금지원신청을 해야 하며, 국토부는 해당 사업의 기금지원 적격성을 검토한 후 기금지원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절차】
|
ㅇ 국토교통부는 이와같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기간 부여 등으로 사업의 장기화를 방지하고,
- 철저한 사업성 검증을 통해 직주근접성이 우수한 도심 내 정비구역에 뉴스테이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계획이다.
- 기금지원 신청접수는 4월부터 실시할 예정으로, 각 후보 구역의 업무추진 추위를 지켜보며 신청접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 해당구역에서 정비조합과 우선협상대상자 간 가격협상이 장기지연되면, 주택도시기금 예산 등의 여건상 기금출자가 연기될 수 있다.
□ 국토교통부는 지속적으로 지자체와 긴밀하게 협조하고, 철저한 사업관리를 통해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참고 |
|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공모 핵심 Q&A |
1. 정비조합의 우선협상대상자 등 선정에 대한 지원계획은? |
□ ?정비사업 연계 기업형임대사업자 선정업무 안내서
? 배포를 통해 업무추진의 방향, 준수해야 할 사항 등을 안내할 계획
ㅇ 특히, 정비조합의 전문성 보완을 위해 한국감정원과 금융투자협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였음
* 한국감정원 : 가격분쟁의 조정, 각종 가격 적정성 심사 수행
금융투자협회(금융전문지원기관) : 정비조합의 제안서 평가 대행
2. 이번 공모에 선정되지 않은 구역에 대한 지원계획은? |
□ 정부차원에서의 별도 지원계획은 없으며, 선정되지 않은 구역은 뉴스테이가 아닌 기존 방식으로 정비사업을 추진하여야 함
ㅇ 다만, 이번 선정되지 못한 22개 구역의 대부분도 지자체 평가와 현장실사를 통해 뉴스테이 사업성이 있는 곳들로 확인된 만큼,
- 정비조합이 원하는 경우 하반기 공모대상에 포함할 계획
3. 각 구역별 기금출자 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
□ 전체 일반분양분 매입비용의 10%정도를 예상하고 있으며, 정확한 출자 규모는 임대사업자의 자금조달 계획에 따라 변동이 있음
4. 선정구역이 당초 발표보다 많은 이유는? |
□ 정비사업의 복잡한 절차 및 이해관계의 다양성을 감안, 목표 물량(사업부지 1만호) 보다 넉넉한 규모로 선정할 필요성을 반영하였음
5. 지역 할당을 실시하지 않은 이유는? |
□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이 초기인 만큼, 사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교통여건이 좋고 임대수요가 충분한 곳을 위주로 선정했음
ㅇ 이번 선정되지 못한 22개 중에서도 뉴스테이 사업성이 있는 곳들이 있어 하반기 공모에서 추가 검토를 통해 선정될 수도 있음
6. 선정된 구역의 조합원이 추진의사가 없을 경우나 추진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어떻게 진행되는지? |
□ 정비사업의 사업주체인 권리자인 정비조합인 만큼, 구역선정이후 총회에서 사업추진이 부결되는 경우, 구역선정을 철회할 예정
7. `16년 추가 공모일정은? |
□ 6월경 하반기 추가공모를 계획 중임
8. `16년 추가 선정예정 물량은? |
□ 상반기 선정사업들의 진행추이를 지켜보며 결정할 예정
9. 이번에 선정되지 않은 구역도 추가 공모에 신청할 수 있는지? |
□ 이번에 선정되지 않은 구역도 향후 공모에 참여할 수 있음
********************************************************
지역 |
선정 구역 (개) |
사업명 |
뉴스테이 공급가능 물량 (호) |
총계 |
15 |
- |
23,638 |
서울 |
1 |
강북2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333 |
경기 |
3 |
고양 능곡6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2,278 |
의정부 장암생활권3구역 재개발사업 |
603 | ||
파주 금촌2동2지구 재개발사업 |
666 | ||
인천 |
6 |
금송 재개발사업 |
1,942 |
송림초교주변 주거환경개선사업 |
1,384 | ||
도화1구역 재개발사업 |
1,524 | ||
부평4구역 재개발사업 |
1,784 | ||
미추8구역 재개발사업 |
2,744 | ||
송림1,2동(현대상가) 재개발사업 |
1,951 | ||
충남 |
1 |
천안 원성동 재건축사업 |
1,800 |
대구 |
1 |
내당내서 재건축사업 |
356 |
부산 |
3 |
우암1구역 재개발사업 |
1,776 |
우암2구역 재개발사업 |
2,691 | ||
감천2구역 재개발사업 |
1,806 |
1. 서울 강북2구역 도시정비환경사업 (미아균촉지구내)
구분 |
정비사업 명칭 |
위 치 |
면 적(㎡) |
비 고 | ||
기 정 |
증 감 |
변 경 | ||||
신규 |
강북2구역 도시환경정비구역 |
미아동 42-8 일대 |
- |
증) 18,958.0 |
18,958.0 |
|
2. 경기
1) 고양 능곡6구역
2) 의정부 장암생활권3구역
구분 |
사업의 구분 |
구역의 명칭 |
위 치 |
면 적(㎡) |
비 고 |
신규 |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
장암생활권3 주택재개발 정비구역 |
의정부시 신곡동 435-3번지 일원 |
34,324 |
|
3) 파주 금촌2동 2지구
구 역 명 |
위 치 |
면 적 (㎡) |
비 고 | ||
기 정 |
변 경 |
증 감 | |||
파주금촌2 택지개발사업지구 |
파주시 금촌동, 금능동, 교하면 교하리 일원 |
862,380.7 |
861,610.5 |
감 770.2 |
|
구 분 |
기 정 |
변 경 |
변 경 후 |
비 고 | ||
계 |
1공구 |
2공구 | ||||
계 |
862,380.7 |
감 770.2 |
861,610.5 |
650,351.8 |
211,258.7 |
|
제 1 종 일 반 주 거 |
47,281.4 |
증 357.0 |
47,638.4 |
47,638.4 |
- |
|
제 2 종 일 반 주 거 |
268,227.4 |
감1,067.6 |
267,159.8 |
199,144.8 |
68,015.0 |
|
제 3 종 일 반 주 거 |
383,216.0 |
증 484.5 |
383,700.5 |
249,212.7 |
134,487.8 |
|
준 주 거 지 역 |
15,266.2 |
감 20.2 |
15,246.0 |
15,246.0 |
- |
|
일 반 상 업 지 역 |
25,939.3 |
증 2.2 |
25,941.5 |
25,941.5 |
- |
|
자 연 녹 지 지 역 |
122,450.4 |
감 526.1 |
121,924.3 |
113,168.4 |
8,755.9 |
|
3. 인천
1) 금송재개발
구분 |
번호 |
정비사업 유 형 |
구역명 |
위 치 |
면적 (㎡) |
용적율 (%) |
건폐율 (%) |
추진단계 |
비 고 |
기정 |
18 |
주택 재개발 |
금송 구역 |
송림동 80-34번지 일원 |
110,600 |
210 |
60 |
1 |
학교필요권역 |
변경 |
18 |
주택 재개발 |
금송 구역 |
송림동 80-34번지 및 창영동 116-1번지 일원 |
114,216.8 |
210 |
60 |
1 |
학교필요권역 |
2) 송림초주변 도시환경정비사업
3) 도화1구역 재개발
4) 부평4구역 재개발
5) 미추8구역 재개발
6) 송림1,2동 (현대상가)
4. 충남 ; 천안 원성동 재개발
5. 대구 ; 내당내서 재개발
서구 내당2·3동 내서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은 서구 내당동 1-11번지 일원에 전체 대지면적 1만9천153㎡에 지하 2층 지상 18층 7개동에 모두 440가구 및 부대복리시설을 건설하는 공사다.
6. 부산
1) 우암1구역 재개발
2) 우암2구역 재개발
3) 감천2구역 재개발
'부동산일반정책 > 부동산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 지역 실수요자도 세종시 아파트 쉽게 마련한다 (0) | 2016.03.09 |
---|---|
“??리모델링ㆍ재건축??할 낡은 집 삽니다”3.4일까지 접수-LH 공사 매입 후 임대 (0) | 2016.02.19 |
[단독]GB해제 뉴스테이 촉진지구, 임대주택 못 짓는다 -News 1 (0) | 2016.02.16 |
「제1종 국민주택채권」발행금리 인하 - 기존 연 1.75%에서 연 1.50%로 0.25%p 인하 (0) | 2016.02.12 |
산업단지 개발·재생사업에 민간 참여 확대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