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1. 필요비는 유치권상 피담보채권이 될 수 있다.
3-2. 집합건물의 관리비는 필요비다. 그러나, 승계의 범위, 소멸시효로 인한 채권소멸 등으로 생각보다 크지 않다.
3-3. 유익비 요건을 채우기라 참 어렵다. 파헤쳐 깨뜨려 보자.
3-4. 임대차에 있어 유익비의 성립 요건
3-5. 공사대금 채권은 유치권 주장의 단골, 그럼에도 함정은 있다.
3-6. 하수급인은 집합건물 전체에 유치권을 주장할 수 있는 엄청난 권력자다.
3-7. 목적물로부터 받은 손해배상채권은 유치권상 피담보채권이다.
3-8. 부동문자로 필요비, 유익비를 청구하지 않기로 한 경우에도 해석에 따라 유치권이 성립할 수 있다.
'경매관련서적 > 경매유치권과손자병법-노인수 이선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 8-5. 유치물 사용권, 8-6.유치권자의 비용상환청구권, 8-7. 별제권 (0) | 2019.10.17 |
---|---|
제5. 유치권자도 이해관계인으로 증명되면 경매기록을 열람 복사 가능 (0) | 2019.10.11 |
제2. 유치권 총설 ; 2-10 유치권자는 피담보채권을 대위행사 할 수 없다. (0) | 2019.10.07 |
제2, 유치권 총설 2-5. 유치권과 동시이행항변권은 물권과 채권의 차이다. (0) | 2019.10.04 |
제2 유치권 총론 ; 2-2. 유치권은 법이 정한 내용이 채워지면 당연히 성립되는 법정담보물권이다. (0) | 2019.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