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구단위계획·도시재생

2025 도정기본계획변경 - 재개발정비계획입안 동의율 50% 완화

모두우리 2024. 1. 18. 19:00
728x90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안)“수정가결”
- 재개발 정비계획 입안 동의율 50%로 완화, 입안 재검토 및 취소 기준 신설 -

<주거정비과>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
위 치 : 서울시 주거지역
내 용 : 정비계획 입안 동의율 완화 및 입안 반대기준 신설에 따른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
수정가결 <신규>
주거정비정책팀
팀장 : 조성국
담당 : 유태윤
(2133-7204)

 

서울시는 2024117일 제1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 "수정가결" 하였다.

 

이번 변경()이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재개발 정비계획 입안 시 50% 이상 동의하면 정비구역 지정이 가능해진다. 반면, 반대 비율이 높아 현실적으로 사업추진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곳은 입안 재검토나 입안 취소할 수 있게 된다.

 

'정비계획 입안 동의율'은 기존에 토지등소유자 2/3 이상에서 1/2 이상으로 완화되지만 토지면적 기준(1/2 이상)은 당초 요건을 유지, 대토지소유주 등 '주민 의사를 반영한 정비구역 지정'이라는 취지는 유지한다.

 

<정비계획 입안 동의율 변경 내용>

현 행 개 선()
- 토지등소유자의 2/3 이상 및 토지면적의 1/2 이상 - 토지등소유자의 1/2 이상 및 토지면적의 1/2 이상

아울러 신설되는 '입안 재검토 및 입안 취소' 기준은 주민공람 및 시의회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정안으로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하여 가결되었다.

<반대동의율 원안/수정안 비교>

구 분 원 안
(주민공람 및 의견청취안)
수정안
입안
재검토
민간재개발 토지등소유자 15% 이상 반대 토지등소유자 20% 이상 반대
공공재개발 토지등소유자 25% 이상 반대
입안
취소
민간재개발 토지등소유자 25% 이상
또는 토지면적 1/2 이상 반대
입안 취소 비율은 원안 유지하되 아래 문구 추가






입안 취소 요건 충족 시 구청장은 정비계획 수립 절차를 중단하거나 입안을 취소할 수 있다.
공공재개발 토지등소유자 30%이상
또는 토지면적 1/2 이상 반대

 

'입안 재검토' 기준은 주민공람안에서는 토지등소유자 반대 15% 이상이었으나, 20%* 이상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공공재개발 단독시행 방식의 경우에는 토지등소유자 반대 25% 이상

'입안 재검토' 기준에 해당되면 입안권자인 구청장은 구역계 일부 제척변경 등 조치계획을 수립, 시에 사업추진 여부 등의 구청장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구청장은 주민 의견조사를 진행하여 추진 여부를 판단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입안 취소' 기준은 주민공람안의 입안 취소 비율을 유지하여 주민 반대가 많아 사업추진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구역에 대해 입안권자인 구청장이 입안을 중단(취소)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다만, 입안 취소 요건 충족 시 자동 취소되는 것이 아니라 입안권자인 구청장이 정비계획 입안 취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취소 요건 충족 시 구청장은 입안권자로서 해당 지역의 현황, 주민동향, 정비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취소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하게 된다.

 

끝으로 이번 기본계획 변경 내용은 고시일부터 시행되나, 시행일 전날까지 주민공람 공고*한 구역은 종전 기준을 적용하며, 그 외 구역은 변경된 기준을 적용받게 된다.

*공공재개발 단독시행 방식의 경우에는 시행일 전날까지 입안 제안한 구역은 종전 기준 적용 

 

<경과조치 원안/수정안 비교>

구 분 원 안
(주민공람 및 의견청취안)
수정안
경과 조치 변경 고시일 전날까지 시장에게 구역지정 요청한 구역은 종전 규정 적용 민간재개발은 주민공람 공고한 구역
공공재개발은 입안 제안한 구역은 종전 규정 적용

 

서울시는 이번 기본계획 변경을 통해 신속한 추진이 가능한 곳은 빠른 구역지정을 통해 주민이 주체가 되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길이 열리는 반면, 반대가 많은 구역은 재검토 등을 통해 주민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초기에 추진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