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도 서울버스 타면 기후동행카드 이용가능!…무제한 교통혁신 누리세요
- 기후동행카드 범위에 경기도 경유 서울 면허버스 111개 노선 이미 포함…경기도민도 혜택
- 광역버스 대비 가격 경쟁력 높은 서울버스, 고양·광명·성남·안양 등 경유 노선 이용 시 더욱 도움
- 수도권 교통 편의 증진 위해 확대 지속 노력…경기도민 기후동행카드 적극 활용 당부
□ 매일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도민도 무제한 대중교통 혁신 서비스인 서울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교통비 절감 등 든든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서울 시내버스가 고양·과천·광명·구리·군포·김포·남양주·부천·성남·안양·양주·의왕·의정부·파주·하남 등 경기지역 생활권에도 운행 중인 만큼, 정시성이 높은 서울버스와 서울 지하철, 따릉이도 탈 수 있는 ‘기동카’ 활용 시 경기도민의 혜택 체감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 서울시는 1월 27일 출범 이후 누적 현재 약 42만장이 판매되고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서울권으로 출퇴근하는 경기도민도 경기도 관내에서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총판매량 (1. 27. 토 ~ 2. 18. 일 기준) - 42만 2천장 / 모바일 16만장, 실물 26만 2천장
□ 이용 방법은 이른바 ‘파란버스(간선버스)’, ‘초록버스(지선버스)’, 마을버스 등 경기권 내를 경유하고 있는 서울시 면허 버스를 타면 된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면허버스면 시내·마을·심야버스를 무제한으로 탈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경기도를 경유하는 서울 면허버스 이용 시에도 제약 없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경기도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서울시 면허 버스는 현재 고양시 30개, 광명시 26개, 성남시 11개, 안양시 15개 등 총 111개 노선이 운행 중에 있다. 또한 서울시가 수도권 출퇴근 이동 지원을 위해 직접 운행을 추진한 서울동행버스 3개 노선도 포함된다. 상세 노선은 네이버, 다음 등 포털 사이트와 서울시홈페이지(www.seoul.go.kr)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서울시 인가 노선 총 385개 중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가능한 노선은 29%(111개 노선)이다. 서울 주요 도심 등을 경유하며 출퇴근 등 이동 지원에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 ’23년 경기 등 수도권 통근 불편 해소를 위해 운행을 시작한 맞춤 노선인 ‘서울동행버스’ 중 서울02번(김포풍무~김포공항역)·04번(고양원흥~가양역)·05번(양주옥정~도봉산역)도 이용이 가능하다.
□ 현재 111개 노선의 일평균 선‧후불 교통카드 승·하차건수는 391,802건(’24.1.27~2.6)이나, 같은 기간 기후동행카드의 이용률은 약 1.6% 수준, 사용건수 합계는 69,833건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내 이용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홍보 및 안내를 추진하고, 경기도 관내 운행 중인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버스 노선 안내를 통해 서울권 생활 경기도민들에게도 무제한 대중교통의 우수한 혜택과 효과를 적극 알릴 예정이다.
○ 한편 같은 기간 해당 노선에서 기후동행카드는 69,833건 사용되었으며, 이는 같은 기간 해당 노선의 전체 교통카드 사용량인 4,309,820건의 1.6% 수준이다. 다양한 홍보 채널에서의 안내를 통해 더욱 많은 수도권 시민들이 대중교통비 절감이라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또한 광역버스의 경우 카드 및 현금 승차시 요금이 3,000원인 반면, 서울시 면허로 경기도를 경유하고 있는 시내버스는 거리비례제 적용 없이 1,500원, 마을버스는 1,200원의 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환승할인까지 적용돼 광역버스 대비 경쟁력이 높다. 이 구간을 자주 이용하는 경기도민이라면 월 6만 2천원(지하철+버스), 6만 5천원(지하철+버스+따릉이)의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경우 횟수의 제한 없이 더욱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민이 출퇴근 시 경기권 내 서울 버스 탑승 및 서울 도심권 지하철 하차 등을 통해 활용하고, 저녁 및 주말 나들이에는 도심권 시내버스 및 심야버스, 따릉이 등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 티머니 모바일 카드를 이용할 경우 태그 시 교통카드를 꺼낼 필요 없이 스마트폰을 간편하게 태그하면 되므로 편리함도 더해진다. 무제한 요금 혜택인 만큼 동일 노선 환승 시 추가 요금도 발생하지 않는다.
□ 한편, 서울시는 수도권 지역에도 무제한 대중교통 혁신 서비스를 확대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인천시, 김포시, 군포시, 과천시와 협약을 성사시켰으며, ‘수도권 시민도 서울시민’ 이라는 오세훈 시장의 시정 철학 및 수도권 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타 지자체 확대를 위한 협의 추진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서울 버스는 광역버스 대비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갖고 있는 만큼, 매일 서울로 출퇴근 하는 경기도민이 기후동행카드를 활용할 시 무제한 대중교통 서비스의 장점을 더욱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기후동행카드는 ‘약자와의 동행’ 가치를 구현하며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수도권 시민을 위해 선보이고 있는 정책인 만큼, 경기도민여러분의 적극적인 활용과 관심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 붙임 1>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 경기도 경유 서울시내ㆍ마을버스 노선
□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 시내·마을 버스 노선
지역명 | 노선 수 | 노선번호 |
계 | 111 | - |
고양시 | 30 | 171, 271, 571, 700, 701, 702A, 702B, 703, 704, 705, 708, 720, 7211, 740, 741, 750, 760, 761, 771, 7711, 7722, 7723, 7726, 7727, 7728, 773, 774, 8772, N37, 서울04 |
과천시 | 8 | 441, 502, 540, 541, 542, 서초08, 서초18, 서초20 |
광명시 | 26 | 5012, 503, 504, 505, 5528, 5535, 5536, 5627, 5630, 5633, 5634, 5714, 643, 651, 652, 653, 6616, 6637, 6638, 6713, N61, 구로04, 구로11, 금천02, 금천04, 금천05 |
구리시 | 4 | 1155, 201, 202, 2212 |
군포시 | 8 | 441, 502, 540, 541, 542, 5530, 5531, 5623 |
김포시 | 1 | 서울02 |
남양주시 | 3 | 1155, 202, 2212 |
부천시 | 5 | 606, 6614, 6615, 661, 673 |
성남시 | 11 | 422, 302, 303, 333, 3420, 343, 345, 440, 4425, 4432, 452 |
안양시 | 15 | 441, 502, 540, 541, 542, 5625, 5626, 5713, 152, 500, 5530, 5531, 5618, 5623, 6515 |
양주시 | 2 | 704, 서울05 |
의왕시 | 3 | 441, 502, 540 |
의정부시 | 7 | 106, 107, 111, 1143, 1154, 노원02, 도봉09 |
파주시 | 2 | 773, 774 |
하남시 | 11 | 3217, 3316, 3318, 3323, 333, 3413, 341, 342, 343, 370, 440 |
※ 위 노선 수 합계는 중복 노선을 제외한 숫자임.
< 붙임 2>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한 기후동행카드 이용가능 버스노선 확인법
□ PC 검색방법
□ 모바일 검색방법
① 서울시홈페이지 접속(PC 혹은 모바일)
② 분야별 정보 → 교통 → 버스․지하철․택시 → 기후동행카드
③ 「버스」선택 후, 노선번호 검색을 통해 기후동행카드 이용가능 여부 확인
'생활정보-민형사, 취업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 19~34세 청년, 5만원대로 기후동행카드 이용…무제한 대중교통 혜택- 청년 맞춤형 ‘기후동행카드’ 첫 선, 2.26(월) 사용분부터 혜택 적용 (0) | 2024.02.21 |
---|---|
서울시, '가정행복 도시락‧밀키트‧먹거리 할인지원 사업' 대폭 확대 (0) | 2024.02.20 |
동행 특별시 서울, 자립준비청년‧약자아동‧위기임산부 더 따뜻하게 보듬는다 (1) | 2024.02.13 |
서울시 노후주택(단독) 단열창호/LED 조명교체 지원-15년이상-공시가3억이하-선착순 (1) | 2024.01.25 |
서울시, 국토부·수도권 지자체와 대한민국 대중교통 혁신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