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건물의 특정 일부에 대하여 경료된 가처분등기의 효력
제정 [등기선례 제2-166호, 시행 ]
596항 참조
가처분권리자의 승소판결에 의한 근저당권설정등기와 가처분 이후의 가압류등기의 말소 제정 1987. 2. 23. [등기선례 제2-596호, 시행 ] 근저당권설정등기청구권을 피보전권리로 하여 처분금지가처분의 등기를 한 후 제3자 명의의 가압류등기가 기입되었다면, 가처분권리자의 본안 승소확정판결에 기한 근저당권설정등기신청과 동시에 그 가압류등기의 말소신청을 하여야 한다. 87. 2.23 등기 제91호 참조예규 : 653, 653-1, 653-2항 질의요지 : 갑은 을을 상대로 을소유부동산에 관하여 근저당권설정등기절차 이행의 청구를 하면서 이를 피보전권리로 하여 그 부동산에 대한 처분금지가처분을 하고 본안에서 승소판결을 받았으나, 가처분기입등기 후 승소판결 전에 병이 그 부동산을 가압류하였을 경우에 갑은 위 승소판결에 기하여 위 부동산에 관한 근저당권설정등기의 신청을 함과 동시에 병 명의의 가압류기입등기의 말소신청 가부 |
**********************************
건물의 특정일부에 대하여 경료된 가처분등기의 효력
제정 [등기선례 제2-4호, 시행 ]
594항 참조
건물의 특정일부에 대하여 경료된 가처분등기의 효력 등 제정 1989. 8. 24. [등기선례 제2-594호, 시행 ] 대장과 등기부상 분할 또는 구분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는 부동산의 특정일부에 대하여 가처분등기의 기입을 할 수 없는 것이므로, 건물의 특정일부에 대한 법원의 가처분결정에 따라 가처분등기가 경료되었다 하더라도 그 특정부분이 구분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그 등기를 한 것이라면 그 등기는 부동산등기법 제55조 제2호 에 해당하는 등기로서 무효이므로, 건물의 일부지분에 대한 가처분등기가 경료되었다가 그 가처분의 목적을 건물의 특정부분으로 경정하는 경정등기가 경료되었다 하더라도, 그 경정등기 당시 그 특정부분이 구분되지 아니한 상태였다면 그 가처분경정등기는 무효라고 볼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처분권리자가 가처분경정등기에 따른 건물의 특정부분에 관하여 그 이전등기절차를 명하는 승소의 확정판결을 받았다 하더라도, 그 특정부분에 관한 가처분경정등기의 효력을 주장하여 가처분등기 후에 경료된 제3자의 등기를 말소하고 위 판결에 의한 등기를 할 수는 없다. 다만 위 가처분은 당초 등기된대로 건물일부지분에 대한 가처분으로서의 효력은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가처분권리자가 위 일부지분의 이전등기절차를 명하는 본안의 승소확정판결을 받은 다음, 그 가처분에 위반되는 제3자의 등기를 말소하고 그 판결에 의한 등기를 할 수는 있다. 89. 8.24 등기 제1625호 |
부동산등기법 일부개정 1986. 12. 23. [법률 제3859호, 시행 1987. 3. 1.] 법무부 제55조(신청의 각하) 등기공무원은 다음 각호에 게기한 경우에 한하여 이유를 기재한 결정으로써 신청을 각하하여야 한다. 그러나 신청의 흠결이 보정될 수 있는 경우에 신청인이 즉일 이를 보정하였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1978·12·6, 1983·12·31, 1984·4·10> 1. 사건이 그 등기소의 관할에 속하지 아니한 때 2. 사건이 등기할 것이 아닌 때 3. 당사자 또는 그 대리인이 출석하지 아니한 때 4. 신청서가 방식에 적합하지 아니한 때 5. 신청서에 게기한 부동산 또는 등기의 목적인 권리의 표시가 등기부와 저촉되는 때 6. 제47조에 게기한 서면을 제출한 경우를 제외하고 신청서에 게기한 등기의무자의 표시가 등기부와 부합하지 아니한 때 7. 신청서에 게기한 사항이 등기원인을 증명하는 서면과 부합하지 아니한 때 8. 신청서에 필요한 서면 또는 도면을 첨부하지 아니한 때 9. 등록세를 납부하지 아니하거나 등기신청과 관련하여 다른 법률에 의하 여 부과된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 10. 제90조, 제101조, 제130조제1호 또는 제131조제1호의 규정에 의하여 등기를 신청하는 경우에 신청서에 기재한 사항이 토지대장·임야대장 또는 가옥대장과 부합하지 아니한 때 11. 등기의 신청이 제56조의 규정에 위반한 때 12. 삭제<1985·9·14> 13. 1동의 건물을 구분한 건물의 등기신청에 있어서는 그 구분소유권의 목적인 건물의 표시에 관한 사항이 등기공무원의 조사결과 집합건물법 제1조에 부합하지 아니한 때 |
1동의 건물 일부에 대하여 전세권설정을 하면서 동 건물의 대지 전부에 대한 전세권설정이 가능한지 여부 제정 1989. 8. 23. [등기선례 제2-368호, 시행 ] 1동의 건물의 특정일부에 관하여 전세권을 설정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동시에 동 건물의 대지전체를 전세권의 목적으로 하는 동일인 명의의 전세권설정등기를 신청할 수 있다. 89. 8.23 등기 제1616호 |
건물의 특정층 전부에 대한 전세권설정등기신청과 도면 첨부 제정 2007. 7. 30. [등기선례 제8-88호, 시행 ] 부동산의 일부에 대한 전세권(임차권)설정등기 신청서에는 그 도면을 첨부하여야 할 것인바, 다만 전세권(임차권)의 목적인 범위가 건물의 일부로서 특정층 전부인 때에는 그 도면을 첨부할 필요가 없다. (2007. 07. 30. 부동산등기과-2482 질의회답) 주 : 이 선례에 의하여 등기선례요지집 Ⅱ 제364항은 그 내용이 변경됨. |
'부동산등기 > 94-95 가처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등기 건물에 대한 가처분등기의 촉탁과 부동산등기법 제131조의 서면 첨부등-미등기 건물 관련 예규들 (0) | 2024.11.22 |
---|---|
대지권등기를 경료하기 전에 건물만에 관하여 경료된 가처분에 기한 소유권이전등기와 대지권등기 후 기입된 가압류등기의 말소절차 (1) | 2024.11.22 |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와 가등기로 보전한 소유권이전청구권에 대한 가처분등기의 말소 가부-가등기 업무처리지침 (0) | 2024.11.22 |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시 가등기 후에 경료된 가처분등기의 직권말소 가부-가처분등기는 법원촉탁에 의하므로 말소등기 역시 법원촉탁 (0) | 2024.11.22 |
종전 토지에 존재하던 가처분등기는 환지처분이 공고된 후 말소되는지 여부(소극) (0)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