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매 나온 물건, 낙찰률 100%
입찰경쟁률 치열…연이은 고가 낙찰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세종시 소재 아파트 경매물건 낙찰가율이 부동산시장
한파에도 불구, 2007년 이후 6년 연속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 들어
경매장에 나온 물건은 모두 경매장에 나오기가 무섭게 새 주인을 찾은 것으로 나타
났다.
22일 부동산태인이 2007년부터 2013년 2월21일까지 경매가 진행된 세종시 소
재 아파트 물건 1899개를 연도별로 나눠 조사한 결과, 연평균 낙찰가율은 2007년
69.28%에서 2012년에는 83.4%로 14.12%P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보면 이 지역 낙찰가율은 부동산 경기침체 시작기인 2009년에도 전년
대비 3.13%P 올랐고 침체 심화기로 접어든 2010~2012년에도 74.71%, 79.91%
83.4%를 각각 기록하는 등 꾸준한 오름세를 보였다. 올 들어서는 105.21%의 평균
낙찰가율을 기록 중이며 이는 경매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0년 이후 최고 수준이
다.
![]() |
||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이는 정부기관 이전으로 주거용 부동산의 공급 부족이
초래될 것으로 본 투자자와 실수요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입찰가를 끌어올렸기 때
문"이라고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이 같은 예상들은 이제 어느 정도 기정사실화된 분위기다. 실제로 정
부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각 기관별 공무원들 중 상당수가 거처를 구하지
못해 서울에서 출퇴근하거나 세종시 외곽과 인근 타 지역까지 발품을 팔며 집을 구
하기 위해 전전긍긍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경매시장에도 아파트 수요자가 먼저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올 들어 경매물건으로 나온 세종시 소재 아파트 8개가 경매장에 처음 나온 날 감정
가보다 높은 가격에 모두 낙찰됐다. 게다가 입찰경쟁률은 6.25대 1로, 같은 기간
수도권 아파트(5.59대 1)보다 높다.
정대홍 팀장은 "연초라서 경매 진행된 물건 수가 적어 속단하기 이르지만 세종
시 소재 아파트 등 주거용 부동산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 확실시 되는 만큼 일반매
매보다 저렴하게 집을 살 수 있는 경매시장 열기도 점차 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
다.
한편 아파트뿐만 아니라 투자자 판단에 따라 향후 개발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보
이는 임야나 전답 같은 토지 물건도 적잖게 낙찰되고 있는 상황이라 투자 열기가
확산되는 범위 또한 주거용 부동산에만 국한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