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제주/경제동향

내년 산업별 온도는? 조선·해운·의료·섬유 '적색'…반도체 '청색'-머니투데이

모두우리 2016. 12. 23. 10:21
728x90


내년 산업별 온도는? 조선·해운·의료·섬유 '적색'…반도체 '청색'

    

[머니투데이 이학렬 기자]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17년 산업 전망' 발표 ]


본문이미지
/자료제공=하나금융경영연구소


조선과 해운업종이 내년에도 위기 상황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의료, 섬유 업종도 조선·해운 못지 않게 위기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반도체는 유일하게 좋은 업종으로 꼽혔다.

하나금융그룹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3일 '2017년 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대내외 이슈 영향을 종합한 산업별 경기 스펙트럼을 제시했다.

연구소는 2017년 한국 경제와 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이슈로 △만성 공급과잉 △중국 내 산업 구조조정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따른 영향 등 3가지를 꼽았다. 연구소는 각 이슈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산업 자체의 경기 사이클을 고려해 종합적인 평가를 정량화해 온도계 형식의 스펙트럼으로 제시했다.

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조선, 해운, 의류, 섬유 업종은 적색 영역에 있으며 철강, 기계, 비철금속, 디스플레이, 건설 등 4개 업종은 주황색 영역에 위치한다.

이주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경기 사이클, 공급과잉, 중국 내 구조조정, 미국 대선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조선과 해운이 가장 바닥에 위치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류, 섬유 등 2개 업종도 스펙트럼 상 적색 영역에 있어 위기 상황이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일하게 청색 존에 위치한 업종은 반도체이며 휴대폰, 음식료, 석유화학 등은 녹색 존에 위치해 비교적 안정적인 한 해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위원은 "반도체는 과거 기업의 PC 교체 주기 등 특정수요 의존도가 높았으나 지금은 수요가 다양하기 때문에 수요 부진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다"며 "공급 요인에 의해 경기 사이클이 결정되는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3사의 과점 체제가 확고해 이전과 같은 심각한 공급과잉이 재발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졌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미국 대선에 따른 영향이 가장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진단했는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 노선이 기존 오바마 행정부와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연구소는 트럼프 정부 수혜 업종은 건설이 유일하며 나머지 업종은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으로 평가했다.

김동한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트럼프의 공약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 정유, 석유화학, 섬유, 의류 등 5개 업종은 향후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조선, 해운 등도 다소 부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자국 내 산업 구조조정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철강과 정유가 각각 상반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중국은 경기부진 장기화에 대응하기 위해 석탄, 철강, 조선, 정유 등 만성적인 공급과잉 산업에 대해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다.

안혜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국이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산업 가운데 밀어내기 수출이 확대되고 있는 정유는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나, 구조조정이 일단락되고 있는 철강은 중국의 생산량 감소로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소재 및 중간재 수출 감소에 따른 전반적인 대중 수출 감소 우려가 높다"고 분석했다.

한편 연구소는 올해에 비해 경기 사이클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음식료, 건설, 의류 등 3개 업종이며 석유화학은 오히려 둔화에서 안정으로 한 단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불황으로 분류된 산업은 조선, 해운, 철강 등 9개로 올해보다 3개 늘어났다.


이학렬 기자 toots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