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공시지가 전국 평균 5.34% 올라…제주(19.0%) 가장 높아 |
제주이어부산(9.67)·경북(8.06) 높은 상승률기록,인천(2.86)가장낮아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이 2017년 1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해 5월 31일 공시한다고 발표했다.
ㅇ 올해는 전년 대비 5.34% 상승하여, 지난 해 5.08%에 비하여 0.26%p 올라, ‘10년부터 꾸준히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ㅇ 이는 정부․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등 토지수요 증가와 일부 지역(제주, 부산 등)의 활발한 개발사업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ㅇ 공시 대상은 총 3,268만 필지(표준지 50만 필지 포함)로, 이번 조사에서는 토지 분할 및 국․공유지 등을 추가로 조사하여 전년(3,230만필지) 대비약 38만 필지가 증가했다.
< ‘07년~’17년 개별공시지가 가격 변동 현황 >
1. 지역별 가격변동률 현황 |
□ 먼저 권역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 4.36%, 광역시(인천 제외) 7.51%, 시․군(수도권․광역시 제외) 6.77%로 나타났다.
ㅇ 수도권은 전반적으로 전국 평균(5.34%) 보다 낮은 변동률을 보였는데, 고양시 덕양·일산등 서북부지역 개발사업지연(재정비 촉진지구) 및 수도권 지역 내 개발사업 부재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ㅇ 광역시 및 시․군지역의 높은 상승률(%)은 제주(19.0), 부산(9.67), 경북(8.06), 대구(8.0) 등 일부지역의 개발사업 진행, 토지수요 증가 등 지가상승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다음으로 시․도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제주(19.0), 부산(9.67), 경북(8.06), 대구(8.0), 세종(7.52) 등 10개 시․도는 전국 평균(5.34)보다 상승폭이 높았고,
ㅇ 인천(2.86), 대전(3.48), 충남(3.70), 경기(3.71), 전북(4.75) 등 7개 시․도는 전국 평균보다 상승폭이 낮았다.
ㅇ 제주는 혁신도시의 성숙과 제2공항에 대한 기대감으로, 부산은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과 주택재개발, 세종은 중앙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및 토지수요 증가 등으로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고,
- 인천은 송도국제도시 개발사업 완료단계에 따른 지가안정(연수구),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동구) 등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 시․군․구별 변동률 분포를 살펴보면, 전국 평균(5.34%)보다 높게 상승한 지역은 128곳, 낮게 상승한 지역은 122곳이며, 하락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상승률이 높은 지역은 제주도 서귀포시(19.41), 제주시(18.72), 경북 예천군(18.50), 전남 장성군(14.50), 서울 마포구(14.08)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ㅇ 상승률이 낮은 지역은 전북 군산시(0.74), 경기고양시 덕양구(1.04), 인천 연수구(1.11), 인천 동구(1.21), 경기고양시 일산서구(1.22) 순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 변동률 상․하위 5위 시군구 현황, % >
상위 5위 | 하위 5위 | ||
제주 서귀포시 (19.41) | 제2공항 신설 기대심리, 제주헬스케어타운사업 개발 등 | 전북 군산시 (0.74) | 제조업계의 불황, 일부 구도심 공동화에 따른 상업지대 가격 하락 |
제주 제주시 (18.72) | 유입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수요 증가, 건설경기 호황 등 | 고양 덕양구 (1.04) | 중심지역 노후화로 기존 시가지 지가 하락 및 농경지 지가하락 등 |
경북 예천군 (18.50) | 도청이전 신도시 개발(호명면), 군청사 이전예정 및 군계획 변경 | 인천 연수구 (1.11) | 송도국제도시 개발사업 완료단계에 따른 지가안정(송도동) |
전남 장성군 (14.50) | 나노기술 일반산업단지개발, 황룡강 생태공원, 장성호 관광지 조성 | 인천 동구 (1.21) | 원도심 지역의 인구 정체, 노령화 및 기반시설 미비로 거래량 저조 등 |
서울 마포구 (14.08) | 홍대입구 주변 상권의 확장(연남동), 경의선로 공원화 등 거주여건 개선 | 고양 일산서구 (1.22) | 구도심 정비사업 및 일산뉴타운 개발사업의 지연 |
< 시․도별 주요 변동사유 >
구분 | 변동률 (%) | 주요 변동사유 |
전국 | 5.34 | 정부․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등 토지 수요 증가 |
서울 | 5.26 | 홍대상권 및 경의선 숲길(마포), 수서SRT역세권 개발(강남), 경리단길·이태원역 인근 고급주택지대 및 한남1재정비촉진지구 중심 상승(용산) |
부산 | 9.67 |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센텀시티내 상권 활성화(해운대), 연산2재개발사업·연산4재건축사업(연제), 신규아파트 분양활성화(수영) |
대구 | 8.00 | 수성의료지구 분양 호조(수성), 1호선 연장·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성숙(달성), 대곡공공주택지구 시행(달서) |
인천 | 2.86 | 역주변 주택수요 증가(부평), 소래·논현택지개발지구·서창공공주택지구(남동구), 용마루주거환경개선사업·도시개발사업(남구) |
광주 | 5.67 | 빛그린산업단지·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 사업(광산구), 첨단2지구·양산지구 개발(북구), 효천1지구 택지개발(남구) |
대전 | 3.48 | 도안신도시개발·세종시 개발 영향(유성구), 갑천친수구역 조성사업·벌곡로 확장(서구), 대전역세권 정비사업·주택재개발(동구) |
울산 | 6.68 | 우정혁신도시·도시재개발사업(중구), 테크노일반산업단지 개발 및 3D프린팅산업 등 4차산업 연구특화단지(남구), 신천지구 및 호계․매곡지구 개발(북구) |
세종 | 7.52 | 세종시로의 인구유입 지속, 도시 성장(기반시설 확충 등)에 따른 토지 수요 증가, 서울-세종간 고속국도 건설사업 |
경기 | 3.71 | 동탄1기 및 2기 신도시·향남택지개발사업(화성), 고덕국제화지구·황해경제자유구역(평택), 시화호MTV사업부지 조성·분양(안산 단원구) |
강원 | 4.89 | 레고랜드 관광산업단지·남춘천일반산업단지(춘천), 동해고속도로·동서고속도로 개통(양양), 영동고속국도·중앙고속도로 연계(횡성) |
충북 | 5.34 | 전원주택 수요 증가 및 도시자연공원구역 해제(청주 상당구), 은암산업단지조성진척(진천), 성불산치유생태공원·발효식품농공단지(괴산) |
충남 | 3.70 | 일반농공단지·광역도로정비사업(금산), 서천발전정부대안사업 추진(서천), 청양-우성, 청양-보령간 국도확포장공사(청양), 호남고속철도 공주역개통(공주) |
전북 | 4.75 | 포니랜드 조성사업·임대주택 건립사업(장수), 전원주택 수요증가(완주), 새만금사업 및 변산해수욕장 개발, 펜션단지 부지조성(부안) |
전남 | 6.19 | 나노산단 연구개발특구, 황룡강생태공원(장성), 첨단문화복합단지 및 일반산업단지(담양), 자연드림파크2단지·지리산역사문화체험단지(구례) |
경북 | 8.06 | 경북도청 이전신도시·녹색문화 상생벨트 조성(예천), 상주-영덕간 고속도로 개통, 천지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영덕), 국가산채 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영양) |
경남 | 7.31 | 광역도로망 확충·각종 산업단지 및 택지개발(김해), 사파도시개발사업·천선동일반산업단지(창원), 항공우주산업 집적화 단지(사천) |
제주 | 19.0 | 혁신도시성숙·제주헬스케어타운사업·제2공항 신설 예정(서귀포), 인구증가로 인한 주택수요 증가 및 건설경기 호조(제주) |
구 분 | 최고 지가 | 최저 지가 | |||
금액 | 소 재 지 | 상호명 | 금액 | 소 재 지 | |
전 국 | 86,000,000 | 서울 중구 충무로1가 (명동8길) | 네이쳐리퍼블릭 (화장품 판매점) | 120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
서 울 | 86,000,000 | 중구 충무로1가 (명동8길) | 네이쳐리퍼블릭 (화장품 판매점) | 6,300 | 도봉구 도봉동 |
부 산 | 25,900,000 | 부산진구 부전동 (중앙대로) | 엘지 유플러스 | 784 | 금정구 오륜동 |
대 구 | 24,600,000 | 중구 동성로2가 (동성로) | 법무사회관 | 274 |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
인 천 | 11,950,000 | 부평구 부평동 (부평대로) | 금강제화 | 250 |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
광 주 | 11,200,000 | 동구 충장로2가 (충장로) | 엘지 유플러스 | 646 | 광산구 사호동 |
대 전 | 12,720,000 | 중구 은행동 (중앙로) | 이안경원 | 406 | 동구 세천동 |
울 산 | 11,700,000 | 남구 삼산동 (삼산로) | 태진빌딩 | 324 |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
세 종 | 4,350,000 | 나성동(한누리대로) | 에스빌딩 | 1,700 | 전의면 양곡리 |
경 기 | 18,200,000 | 성남분당구 백현동 (판교역로146번길) | 현대백화점 | 463 |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
강 원 | 11,370,000 | 춘천시 조양동 (명동길) | 뷰티플렉스 (화장품 판매점) | 146 | 삼척시 노곡면 하마읍리 |
충 북 | 10,400,000 | 청주상당구 북문로1가 (상당로69번길) | 커피빈 (커피 전문점) | 197 | 단양군 영춘면 동대리 |
충 남 | 8,597,000 | 천안동남구 신부동 (만남로) | 롯데리아 | 251 | 금산군 진산면 오항리 |
전 북 | 6,900,000 | 전주완산구 고사동 (팔달로) | 금강제화 | 179 | 장수군 장수읍 덕산리 |
전 남 | 3,860,000 | 순천시 연향동 (연향중앙상가길) | 르까프 (의류 판매점) | 120 |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
경 북 | 12,300,000 | 포항북구 죽도동 (죽도시장길) | 개풍약국 | 142 | 울진군 기성면 이평리 |
경 남 | 6,102,000 | 창원의창구 용호동 (원이대로) | 정우상가 | 165 |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
제 주 | 5,700,000 | 제주시 연동 (신광로) | 디저트39 (커피 전문점) | 440 |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 |
'부동산일반정책 > 부동산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재생, 정비 시급한 지역 중심 '선도지역' 우선 지정-News1 (0) | 2017.06.15 |
---|---|
12월부터 새롭게 짓는 공동주택,‘패시브하우스’로 만든다-단열 강화 등을 통해 온실가스·주거비 줄이고 …` ‵25년 100% 달성 목표 (0) | 2017.06.15 |
범부처 ‧ 전국 지자체와 함께 도시재생 뉴딜 방안 찾는다-릴레이 의견수렴…지역 수요 더하고 부작용 뺀 협업 모델 도출 기대 (0) | 2017.05.29 |
서울, 경기, 충남 행복주택에 입주신청 하세요!- 올해 첫 11곳 4천 2백호 모집...연말까지 2만호 모집 - (0) | 2017.03.30 |
서울 市, 부실시공․불법하도급 업체 실명공개로 시민안전 지킨다 (0) | 2017.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