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일반정책/부동산 일반

개별공시지가 전국 평균 5.34% 올라…제주(19.0%) 가장 높아-제주이어부산(9.67)·경북(8.06) 높은 상승률기록,인천(2.86)가장낮아

모두우리 2017. 6. 2. 09:23
728x90


 

개별공시지가 전국 평균 5.34% 올라제주(19.0%) 가장 높아

제주이어부산(9.67)·경북(8.06) 높은 상승률기록,인천(2.86)가장낮아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관할 시장군수구청장 20171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해 531일 공시한다고 발표했다.

 

올해는 전년 대비 5.34% 상승하여, 지난 해 5.08%에 비하여 0.26%p 올라, ‘10년부터 꾸준히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정부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등 토지수요 증가와 일부 지역(제주, 부산 등)의 활발한 개발사업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공시 대상은 총 3,268만 필지(표준지 50만 필지 포함), 이번 조사에서는 토지 분할 및 국공유지 등을 추가로 조사하여 전년(3,230필지) 대비38만 필지가 증가했다.

 

< ‘07’17년 개별공시지가 가격 변동 현황 >


1. 지역별 가격변동률 현황

 

먼저 권역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 4.36%, 광역시(인천 제외) 7.51%, (수도권광역시 제외) 6.77%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전반적으로 전국 평균(5.34%) 보다 낮은 변동률을 보였는데, 고양시 덕양·일산등 서북부지역 개발사업지연(재정비 촉진지구) 수도권 지역 내 개발사업 부재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광역시 및 시군지역 높은 상승률(%)제주(19.0), 부산(9.67), 경북(8.06), 대구(8.0) 등 일부지역의 개발사업 진행, 토지수요 증가 지가상승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도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제주(19.0), 부산(9.67), 경북(8.06), 대구(8.0), 세종(7.52) 10개 시도는 전국 평균(5.34)보다 상승폭이 높았고,

 

인천(2.86), 대전(3.48), 충남(3.70), 경기(3.71), 전북(4.75) 7개 시도는 전국 평균보다 상승폭이 낮았다.

 

제주는 혁신도시의 성숙과 2공항에 대한 기대감으로, 부산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과 주택재개발, 세종중앙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및 토지수요 증가 등으로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고,

 

- 인천은 송도국제도시 개발사업 완료단계에 따른 지가안정(연수구),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동구) 등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구별 변동률 분포를 살펴보면, 전국 평균(5.34%)보다 높게 상승한 지역은 128, 낮게 상승한 지역은 122곳이며, 하락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률이 높은 지역은 제주도 서귀포시(19.41), 제주시(18.72), 경북 예천군(18.50), 전남 장성군(14.50), 서울 마포구(14.08)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상승률이 낮은 지역은 전북 군산시(0.74), 경기고양시 덕양구(1.04), 인천 연수구(1.11), 인천 동구(1.21), 경기고양시 일산서구(1.22) 순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 변동률 상하위 5위 시군구 현황, % >

상위 5

하위 5

제주 서귀포시

(19.41)

2공항 신설 기대심리, 제주헬스케어타운사업 개발 등

전북 군산시

(0.74)

제조업계의 불황, 일부 구도심 공동화에 따른 상업지대 가격 하락

제주 제주시

(18.72)

유입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수요 증가, 건설경기 호황 등

고양 덕양구

(1.04)

중심지역 노후화로 기존 시가지 지가 하락 및 농경지 지가하락 등

경북 예천군

(18.50)

도청이전 신도시 개발(호명면),

군청사 이전예정 및 군계획 변경

인천 연수구

(1.11)

송도국제도시 개발사업 완료단계에 따른 지가안정(송도동)

전남 장성군

(14.50)

나노기술 일반산업단지개발, 황룡강 생태공원, 장성호 관광지 조성

인천 동구

(1.21)

원도심 지역의 인구 정체, 노령화 및 기반시설 미비로 거래량 저조 등

서울 마포구

(14.08)

홍대입구 주변 상권의 확장(연남동), 경의선로 공원화 등 거주여건 개선

고양 일산서구

(1.22)

구도심 정비사업 및 일산뉴타운 개발사업의 지연

< 도별 주요 변동사유 >

구분

변동률

(%)

주요 변동사유

전국

5.34

정부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등 토지 수요 증가

서울

5.26

홍대상권 및 경의선 숲길(마포), 수서SRT역세권 개발(강남), 경리단길·이태원역 인근 고급주택지대 및 한남1재정비촉진지구 중심 상승(용산)

부산

9.67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센텀시티내 상권 활성화(해운대), 연산2재개발사업·연산4재건축사업(연제), 신규아파트 분양활성화(수영)

대구

8.00

수성의료지구 분양 호조(수성), 1호선 연장·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성숙(달성), 대곡공공주택지구 시행(달서)

인천

2.86

역주변 주택수요 증가(부평), 소래·논현택지개발지구·서창공공주택지구(남동구), 용마루주거환경개선사업·도시개발사업(남구)

광주

5.67

빛그린산업단지·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 사업(광산구), 첨단2지구·양산지구 개발(북구), 효천1지구 택지개발(남구)

대전

3.48

도안신도시개발·세종시 개발 영향(유성구), 갑천친수구역 조성사업·벌곡로 확장(서구), 대전역세권 정비사업·주택재개발(동구)

울산

6.68

우정혁신도시·도시재개발사업(중구), 테크노일반산업단지 개발 및 3D프린팅산업 4차산업 연구특화단지(남구), 신천지구 및 호계매곡지구 개발(북구)

세종

7.52

세종시로의 인구유입 지속, 도시 성장(기반시설 확충 )에 따른 토지 수요 증가, 서울-세종간 고속국도 건설사업

경기

3.71

동탄1기 및 2기 신도시·향남택지개발사업(화성), 고덕국제화지구·황해경제자유구역(평택), 시화호MTV사업부지 조성·분양(안산 단원구)

강원

4.89

레고랜드 관광산업단지·남춘천일반산업단지(춘천), 동해고속도로·동서고속도로 개통(양양), 영동고속국도·중앙고속도로 연계(횡성)

충북

5.34

전원주택 수요 증가 및 도시자연공원구역 해제(청주 상당구), 은암산업단지조성진척(진천), 성불산치유생태공원·발효식품농공단지(괴산)

충남

3.70

일반농공단지·광역도로정비사업(금산), 서천발전정부대안사업 추진(서천),

청양-우성, 청양-보령간 국도확포장공사(청양), 호남고속철도 공주역개통(공주)

전북

4.75

포니랜드 조성사업·임대주택 건립사업(장수), 전원주택 수요증가(완주), 새만금사업 및 변산해수욕장 개발, 펜션단지 부지조성(부안)

전남

6.19

나노산단 연구개발특구, 황룡강생태공원(장성), 첨단문화복합단지 및 일반산업단지(담양), 자연드림파크2단지·지리산역사문화체험단지(구례)

경북

8.06

경북도청 이전신도시·녹색문화 상생벨트 조성(예천), 상주-영덕간 고속도로 개통, 천지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영덕), 국가산채 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영양)

경남

7.31

광역도로망 확충·각종 산업단지 및 택지개발(김해), 사파도시개발사업·천선동일반산업단지(창원), 항공우주산업 집적화 단지(사천)

제주

19.0

혁신도시성숙·제주헬스케어타운사업·2공항 신설 예정(서귀포), 인구증가로 인한 주택수요 증가 및 건설경기 호조(제주)


구 분

최고 지가

최저 지가

금액

소 재 지

상호명

금액

소 재 지

전 국

86,000,000

서울 중구 충무로1

(명동8)

네이쳐리퍼블릭

(화장품 판매점)

120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서 울

86,000,000

중구 충무로1

(명동8)

네이쳐리퍼블릭

(화장품 판매점)

6,300

도봉구 도봉동

부 산

25,900,000

부산진구 부전동

(중앙대로)

엘지

유플러스

784

금정구 오륜동

대 구

24,600,000

중구 동성로2

(동성로)

법무사회관

274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

인 천

11,950,000

부평구 부평동

(부평대로)

금강제화

250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광 주

11,200,000

동구 충장로2(충장로)

엘지

유플러스

646

광산구 사호동

대 전

12,720,000

중구 은행동

(중앙로)

이안경원

406

동구 세천동

울 산

11,700,000

남구 삼산동 (삼산로)

태진빌딩

324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세 종

4,350,000

나성동(한누리대로)

에스빌딩

1,700

전의면 양곡리

경 기

18,200,000

성남분당구 백현동

(판교역로146번길)

현대백화점

463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강 원

11,370,000

춘천시 조양동

(명동길)

뷰티플렉스

(화장품 판매점)

146

삼척시 노곡면

하마읍리

충 북

10,400,000

청주상당구 북문로1

(상당로69번길)

커피빈

(커피 전문점)

197

단양군 영춘면

동대리

충 남

8,597,000

천안동남구 신부동

(만남로)

롯데리아

251

금산군 진산면

오항리

전 북

6,900,000

전주완산구 고사동

(팔달로)

금강제화

179

장수군 장수읍

덕산리

전 남

3,860,000

순천시 연향동

(연향중앙상가길)

르까프

(의류 판매점)

120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경 북

12,300,000

포항북구 죽도동

(죽도시장길)

개풍약국

142

울진군 기성면

이평리

경 남

6,102,000

창원의창구 용호동

(원이대로)

정우상가

165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제 주

5,700,000

제주시 연동

(신광로)

디저트39

(커피 전문점)

440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