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타운현황

서울시, 2020년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5곳 신규 선정- 5년 간 마중물사업비 100억원, 향후 정부 뉴딜사업 선정시 250억원 지원

모두우리 2020. 9. 4. 20:37
728x90

서울시, 2020년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5곳 신규 선정

- 주거지 재생지역 선정주민 추진의지, 지역자원, 기대효과 등 종합평가

- 5년 간 마중물사업비 100억원, 향후 정부 뉴딜사업 선정시 250억원 지원

- 집수리전문관 우선 파견, 가꿈주택 등 연계 지원 주민 체감도 향상 도모

 

서울시는 금천구 독산2일대 등 5곳을 2020년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주거지 재생형)으로 새롭게 선정했다고 밝혔다.

새롭게 선정된 5곳은 2018년부터 희망지사업 또는 골목길재생사업을 진행한 노후 저층주거지로서 재생사업의 필요성시급성, 주민들의 참여의지, 기대효과 등을 종합평가해 대상지를 최종 선정했다.

 

< 2020년 선정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

연번

자치구

선정지역

면적()

지역특성 및 선정사유

1

금천구

독산2

1035일대

103,000

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형성된 저층주거지로서 재생사업에 대한 주민과 자치구 의지가 강함

재생지역내 위치한 초등학교와 연계한 재생사업 모델 제시 기대

2

중 구

신당5

144-11일대

150,000

저층주거지, 전통시장(백학), 봉제산업 등이 쇠퇴한 원도심으로 다양한 재생 시도 및 효과 기대

3

양천구

신월1

799일대

148,000

70년대 초 서울지역 철거민 이주단지로 주거환경이 열악한 항공기소음지역으로

재생지역내 전통시장(신영, 월정로)을 통한 지역상권 활성화 기반보유

4

마포구

합정동

369일대

93,000

노후 저층주거지와 풍부한 역사문화자원 상존, ‘18년부터 골목길재생사업 추진중

마포구 최초 재생지역으로, 인근 화력발전소 공원화사업 등과 연계하여 지역명소화 기대

5

중랑구

망우본동

182-34일대

154,000

철도 등으로 주변지역과 단절되고 낙후된 정주환경 개선과 재생을 통한 지역 이미지 쇄신 필요

지역주민의 재생의지와 사업목표가 명확하여 재생사업 효과 기대

 

이들 지역은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올해부터 5년 간('20. 9.~'25. 9.) 500억 원(1곳 당 100억 원)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향후 뉴딜사업으로 선정되면 국비 500억 원(1 100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되어 마중물 사업비가 1,250억 원(1곳 당 250억 원)으로 확대될 수 있다.

 

서울시는 금회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재생사업 초기부터 집수리전문관을 파견해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해 나갈 예정이다.

통상 활성화계획 수립을 위해 1~2년이 소요되고 뉴딜사업 추진시 계획수립에 추가기간이 소요되어 재생사업 초기에 주민들의 체감도가 낮다는 의견이 있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시부터 주민들이 노후 주택을 신증축하거나 고쳐 쓸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취지다.

집수리 전문관은 건축 관련 협업에 종사하는 건축전문가로서 저층주거지 주민을 직접 찾아가 주택에 대한 진단부터 대수선, 개보수, 신축, 소규모 정비사업까지 주민 눈높이에서 맞춤형 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서울시는 실제로 집수리전문관을 파견한 지역에서 가꿈주택 집수리 보조 및 융자사업 신청이 대폭 늘어나는 등 실질적인 주거재생 효과가 있고 주민 체감과 만족도가 높았던 행정경험을 살리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류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이번에 2020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된 5곳은 노후 및 열악한 저층주거지와 전통시장의 활력을 잃어가는 지역이 많아 도시재생을 통해 생활터전을 보전하면서 개선이 절실한 지역이다라며 특히 주민들의 재생에 대한 열망이 강하고 풍부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잠재력이 높은 지역들로 주거환경개선은 물론 침체된 골목상권을 살리는 재생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참고 ; 주거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개요

 

1. 독산2동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위치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21035일대

면적 : 103,000(주거지지원형)

 

선정사유

- ‘금천구 독산2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하여 조성된 이후 주거지 노후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지역이나 주변의 대규모 개발지역(4,400세대 아파트)과 접하고 있어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이 큰 지역이다. 서울시 최초로 자치구 단위의 기초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등 주민들의 참여와 자치구의 의지가 강하여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돼 선정됐다.

 

2. 신당5동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5144-11일대

면적 : 150,000(일반근린형)

 

선정사유

- ‘중구 신당5은 인구 감소(1990년 대비 39%)가 매우 크고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봉제 산업 생태계의 붕괴 등 도심내 손꼽히는 저층주거지이면서 골목상권의 쇠퇴가 심각한 지역이나 재생에 대한 주민의 열망과 전통시장 백학축제(17), 행정복합타운 조성(예정), 신당역 더블역세권 등 지역자원과 잠재력을 보유하여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 변화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 중구 최초의 주거지재생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됐다.

 

3. 신월1동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위치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1799일대

면적 : 148,000(일반근린형)

 

선정사유

- ‘양천구 신월1은 항공기 소음지역으로써 ‘70년대 초 경인토지구획정리사업과 연계한 서울지역 철거민 이주단지로 조성되어 노후화가 가속되고 있는 서남권의 대표 저층주거지이다. ‘16년부터 시작된 주민모임(돌다리)과 함께 지역 내 신월시장과 월정로시장은 골목형시장 육성사업을 통해 주민들이 이용하는 거점시설로 기능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재생사업의 지속 가능한 역량과 기반을 갖추고 있어 선정됐다.

 

4. 합정동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69일대

면적 : 93,000(주거지지원형)

 

선정사유

- 마포구 합정동은 수도 서울의 젖줄인 한강과 절두산 순교성지, 조선시대 국방의 요충지였던 양화진의 옛터, 국내 가장 오래된 서울화력발전소가 있는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나 노후화된 주택가와 활력을 잃은 상가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부터 활성화지역 선정이전 사전단계로 인정된 골목길재생사업(18년 선정)을 시행중에 있으며 젠트리피케이션 예방 계획과 역사자원을 연계한 사업계획 수립을 조건으로 선정되어 향후 서울화력발전소 공원화 조성이 완료되면 홍대 및 합정역에 이은 새로운 명소로 거듭 날 것으로 예상된다.

 

5. 망우본동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위치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본동 182-34일대

면적 : 154,000(일반근린형)

 

선정사유

- ‘중랑구 망우본동삼면(북측 철로, 남측 망우로, 서측 지하차도) 주변지역과 단절되어 지역적 소외감을 극복하고 낙후된 지역 이미지를 도시재생을 통해 쇄신코자 하는 주민들의 의지가 강할 뿐만 아니라 위화감 없는 마을, 근심 없는 안전거리, 활력 있는 골목상권, 쾌적한 역사생태 마을만들기라는 뚜렷한 목표가 특히 돋보여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