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전·전남·충남·충북,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 선정
- 26일 경쟁력강화추진위원회 개최, '22년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 5곳 선정 -
- 노후산단을 "디지털·친환경 산단"으로 전환, 일자리 3만명 창출 기대 -
□ 정부가 지역의 노후된 산업단지를 디지털·친환경화하고 지역경제의 혁신거점으로 키우기 위한 집중 지원에 박차를 가한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 이하 국토부)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는 4월 26일(화)에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추진위원회*(이하 경강위)를 공동 개최하여,
* 노후거점산업단지의 활력증진 및 경쟁력강화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설치·운영(국토부 제1차관, 산업부 차관 공동 위원장)
ㅇ 올해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거점산단)”으로 경북(포항국가산단), 대전(대전산단), 전남(대불국가산단), 충남(천안제3일반산단), 충북(청주산단) 등 5곳을 예비 선정했다고 밝혔다. (가나다 順)
【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추진위원회 개요 】 | ||
ㅇ 일시/장소: ’22. 4. 26.(화) 16~17시 / 일자리위원회 대회의실(서울 광화문) ㅇ 참 석 자: 산업부 차관, 국토부 등 8개 부처 당연직 위원(국장급), 위촉직 민간위원 10인 등 ㅇ 상정안건: 2022년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 예비선정(안) |
ㅇ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거점산단)은 ’20년부터 매년 5곳을 선정*해왔으며,
- ’20년에는 경북(구미1~4국가산단), 광주(광주첨단과학산단), 대구(성서1~5차일반산단), 인천(남동국가산단), 전남(여수국가산단)을,
- ’21년에는 경기(반월·시화국가산단), 경남(창원국가산단), 부산(명지·녹산국가산단), 울산(울산·미포국가산단), 전북(군산·군산2국가산단)을 선정하여 관계부처 협업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 선정 현황: (’20) 5곳, (’21) 5곳, (’22) 5곳 등 총 15곳
** 산업단지 스마트·그린화(국토부·산업부), 환경개선(국토부·산업부), 창업·고용 여건 개선
(중기부·고용부 등) 등 8개 부처 42개 사업을 메뉴판화 하여 패키지 지원
□ 산업단지 대개조*는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ESG 경영 요구 등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대응하여 노후 산업단지가 지역산업 혁신과 일자리 창출의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여러 부처가 협업하여 집중 지원하는 프로젝트이다.
* ‘19.11월 발표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의 후속 조치로 추진(제13차 일자리위원회 본회의)
ㅇ 광역지자체가 특화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지역 내 거점산단을 허브로 하고 연계된 산단 또는 지역을 묶어 지역 주도로 산업단지 혁신계획을 수립하면,
ㅇ 중앙정부가 컨설팅을 통해 지역과 함께 혁신계획을 보완하여 민간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5곳을 선정하면 범부처 협업으로 3년간 국가 재원을 집중 투자하여 육성·지원하는 중앙-지방 협력형 사업이다.
□ 올해의 경우 공동 주관부처인 국토부와 산업부는 지난 3월 3일 지역선정 공모를 시행하였으며, 민간 전문가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7개 시·도가 신청한 혁신계획을 4월 19일 평가했다.
ㅇ 이에 4월 26일 개최된 경강위에서는 경북, 대전, 전남, 충남, 충북 등 5곳을 올해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으로 예비 선정 하고, 해당 지역 거점산단 5곳을 신규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지정하였다.
□ 올해 예비 선정된 5개 지역의 혁신계획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경북은 포항국가산단을 거점으로 경주 외동일반산단, 영천첨단부품소재산단과 포항철강산단을 연계하여, 그린철강 기반 청정금속소재 산업 허브를 구축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 저탄소 철강산업 공정기술 지원, 저전력 지능형 IoT 물류부품 상용화 기반구축 등의 핵심사업을 추진하고, 일자리 2천개 창출, 수출액 20% 증가, 탄소배출 10% 저감 등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ㅇ 대전은 대전산단을 거점으로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충남대·한남대를 연계하여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는 K-제조업의 신성장 거점을 구축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R&D, 노후산단 재정비 등 핵심사업을 추진하고, 입주기업 1,045개 증가, 생산 19.2조원 증가, 일자리 5.2만명 달성 등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ㅇ 전남은 대불국가산단을 거점으로 영암 삼호일반산단, 해남 화원일반산단, 목포 삽진일반산단을 연계하여 친환경 중소형 선박과 해상풍력 기자재 생산허브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산단 산재예방 통합지원센터, 스마트 공동물류 플랫폼 구축 등 핵심사업을 추진하고, 생산 34% 증가, 종사자 25% 증가, 산재 50% 감소 등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ㅇ 충남은 천안제3일반산단을 거점으로 아산 인주일반산단, 아산테크노밸리일반산단과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를 연계하여 미래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그린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글로벌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 대중소 상생형 공동훈련센터 지원, 미래 모빌리티 기술창업타운 조성 등 핵심사업을 추진하고, 스마트공장 41개 신규 보급, 신규창업 100개사 등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ㅇ 충북은 청주산단을 거점으로 청주시 소재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창과학산단과 옥산산단을 연계하여, 지능형 융합기술을 통해 소부장 산업 글로벌 기술거점을 구축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R&D,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등 핵심사업을 추진하고, 생산 25% 증가, 수출 35% 증가, 일자리 1만개 창출 등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 향후 일자리위원회와 국토부·산업부 등 12개 중앙부처는 5개 지역의 혁신계획 추진에 대한 협의를 통해 혁신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예산을 확보하는 등 세부사업의 적정성과 실현 가능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 이에 국토부 윤성원 제1차관(경강위 위원장)은 “노후 산업단지가 지역의 경제와 산업을 주도하는 혁신 공간, 청년과 우수 인재가 모이는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선정 지역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고,
□ 산업부 박진규 차관(공동위원장)도 “급변하는 산업환경 속에서 지방경제와 산업단지를 함께 살리기 위해서는 지역 주도로 수립된 혁신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ㅇ “지역에서 수립한 산단대개조 혁신계획이 지역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업하여 지역에서 희망하는 사업들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일자리위원회 김용기 부위원장은 “3년차를 맞은 산단대개조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업체계가 확립되고 지역고용 및 투자가 확대되어, 일자리를 중심으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가경제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ㅇ “산단대개조 사업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지자체 및 입주기업의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수렴·개선하고, 사업의 성과평가 및 관리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으며,
- 중앙정부-지자체-입주기업 등 참여주체 간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통한 지속적인 사업 관리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참고 | '22년 산업단지 대개조 선정 지역 혁신계획 (요약) |
1 | 경상북도 (’23~’25년) |
1. 혁신계획 개요
ㅇ (주력산업) 철강, 자동차, 금속소재 등
ㅇ (비전) 그린철강 기반 청정금속소재 산업 허브 구축
ㅇ (목표) 탈탄소․스마트산단 대전환을 통한 산업구조 첨단화 및
다변화 선도, 신산업 기반 일자리 창출 확대
ㅇ (대상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 영천시 일원
거점단지 | 포항국가산업단지(포스코단지, 제2연관단지, 청림단지) |
연계단지 | 경주 외동일반산업단지, 영천 첨단부품소재산업단지 |
연계지역 | 포항철강산업단지(포항1, 3, 4일반산업단지) |
ㅇ (신청사업) 총 30개 사업(’23년 국비 900억원)
중점과제 | 주요 사업(시·도 요구) |
新패러다임 대응 청정금속소재 산업 융합화 |
①대중소기업 협업 기반 철강산업 밸류체인 강화 ②저탄소 철강산업 공정기술 지원 ③저탄소 철스크랩 업싸이클링 및 종합관리 플랫폼 구축 ④그린철강 기반 미래차 청정금속소재 개발 |
디지털 전환 대응 스마트 제조 新산업화 |
⑤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⑥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 ⑦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 ⑧초광역 그린모빌리티 상생형 일자리 사업 |
탈탄소 에너지 전환 가속화 |
⑨저전력 지능형 IoT 물류부품 상용화 기반구축 사업 ⑩산단 환경개선 펀드(포항 스마트철강복합타운 조성) |
ㅇ (추진체계) 경북산단대개조 사업단
2. 지역여건
ㅇ 포항권(포항-경주-영천) 산단은 철강산업 및 자동차부품산업의 중심지로 경북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
ㅇ 대내외 환경변화* 및 산단 노후화로 경쟁력약화 등 위기상황에 처해 있으나 입주기업 및 고용인원이 많고, 혁신기관 집적 등 재도약 할 수 있는 잠재력 풍부
* 고탄소 철강산업 탄소중립 요구,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전환, 낮은 가동률 등
3. 혁신계획 구성
ㅇ (중점과제1) 新패러다임 대응 청정금속소재 산업 융합화
- 저탄소 철강산업 구조 고도화
- 철강환류시스템 기반 구축
- 청정금속활용 수요사업 시장창출
ㅇ (중점과제2) 디지털 전환 대응 스마트 제조 新산업화
- 디지털 제조혁신 선제적 전환
- 스마트 산업현장 혁신 거점화
- 스마트 제조혁신 인력양성
ㅇ (중점과제3) 탈탄소 에너지 전환 가속화
- 탈탄소 기후변화 역량 강화
- 친환경 에너지전환 플랫폼 구축
- 그린 인프라 정비
2 | 대전광역시 (’23~’25년) |
1. 혁신계획 개요
ㅇ (주력산업) 차세대무선통신융합, 지능형로봇, 바이오메디컬, 첨단 융복합 화학소재
ㅇ (비전)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는 K-제조업의 신성장 거점
ㅇ (목표) ① 거점-연계산단간 협력을 통한 선순환 기업성장생태계 구축, ② 거점산단 구조고도화로 지역경제의 새로운 동력 확보
ㅇ (대상지역)
거점단지 | 대전산업단지 : 2,317㎡ |
연계단지 | (연계산단) 대덕연구개발특구 : 67,809㎡ |
(연계지역1) 충남대학교(보운캠퍼스 포함) : 1,603.9㎡ | |
(연계지역2) 한남대학교 : 545.9㎡ |
ㅇ (신청사업) 총 37개 사업(’23년 국비 916.4억원)
중점과제 | 주요 사업(시·도 요구) | |
1. 초연결 네트워크 구축으로 개방형 혁신산단 조성 | (메뉴판)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 구조고도화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 거점-연계산단 파트너쉽 강화 지원사업 |
(메뉴판)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R&D) 스케일업 인프라 구축 글로벌 스타트업파크 조성 |
2. 인프라 혁신으로 그린산단 조성 | (메뉴판) 스마트 편의시설 확충 (메뉴판) 미세먼지 차단숲사업 (메뉴판) 중소기업 청정공정 보급 확산 |
(메뉴판) 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구축 (메뉴판) 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 구축 |
3. 제조혁신으로 디지털산단 조성 | (메뉴판) 혁신 데이터센터 구축 (메뉴판) 스마트산단 제조혁신 기반구축 (메뉴판) 공정혁신 시뮬레이션센터 (메뉴판)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생산설비 개조·개선 (메뉴판) 디자인 제조기업 혁신 |
(메뉴판) 산단혁신지원센터 (메뉴판)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 (메뉴판)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지원 (메뉴판) 부처연계형 노후산단 개발 (메뉴판) 정원 인프라 확충 (메뉴판) 산단 환경개선 펀드 |
4. 근로환경 혁신으로 청년과 인재가 모이는 휴먼산단 조성 | (메뉴판) 노후공단 재정비 지원 (메뉴판) 클린사업장 조성 지원(안전투자혁신사업) (메뉴판) 활력있고 아름다운 거리조성 (메뉴판) 주차환경 개선사업 (메뉴판) 첨단도로 교통체계 (메뉴판) 산업단지형 행복주택 건립 소호형 주거클러스터 조성 |
생활편의시설 조성 (메뉴판) 직장 어린이집 설치 (메뉴판) 대중소 상생형 공동훈련센터 (메뉴판)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 산학융합지구 조성 (메뉴판) 스마트 제조 고급인력 양성 (메뉴판) 대전지역 산업단지 스마트화 및 고용 위기 극복 |
ㅇ (추진체계) 지역일자리 거점 혁신계획 추진체계
2. 지역여건
ㅇ 전국 대비 대전광역시 제조업 비중은 2011년 1.01%에서 2019년 1.13%로 소폭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제조업이 취약
ㅇ 다만, 2011~2020년 사이 대전 제조업 취업자수 증가율이 1.93%로서 전국 평균 0.52%를 크게 상회
3. 혁신계획 구성
ㅇ 비전 달성을 위해 4대 중점과제, 8개 실천과제, 37개 세부과제로 구성
3 | 전라남도 (’23~’25년) |
1. 혁신계획 개요
ㅇ (주력산업) 친환경 선박, 세계 최대 해상풍력단지 조성 거점기지
ㅇ (비전) 친환경 중소형 선박, 해상풍력 기자재 생산 허브로 도약
ㅇ (목표)
분 야 | ’23년 | ’24년 | ’25년 |
생산액 증가율 | 19% | 23% | 34% |
업종 다변화율 | 71% | 93% | 118% |
종사자 증가율 | 10% | 17% | 25% |
노동환경만족도 | 80점 | 85점 | 90점 |
산업재해감소율 | 10% | 25% | 50% |
ㅇ (대상지역) (거점) 영암 대불산단, (연계) 영암 삼호·해남 화원·목포 삽진산단
ㅇ (신청사업) 총 25개 사업(’23년 국비 698.7억원)
중점과제 | 주요사업 |
지능형 디지털 혁신산단 (5개사업) |
①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사업, ②친환경 중소형선박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플랫폼 구축, ③친환경 스마트 조선해양산업 제조혁신 기반구축, ④스마트 공동물류 플랫폼 구축, ⑤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스마트 생산 공유플랫폼 구축 |
친환경 조선, 해상풍력 특화산단 (12개사업) |
①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 지원, ②산업 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 ③조선해양 친환경선박 차세대 단열 소재부품 연구개발기반 구축, ④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설계 및 생산 특화기술개발, ⑤배터리 재사용 전기추진 소형선박 및 ECU 시스템 개발, ⑥수소연료전지기반 레저선박 건조·실증사업, ⑦중소형선박 진수전용부지 기반구축, ⑧중소형 선박 고속엔진의 스마트 수명·진단 관리지원 체계 구축, ⑨해상풍력 O&M 전문교육센터, ⑩조선업 생산기술 전문인력 양성사업, ⑪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 ⑫대중소 상생형 공동훈련센터 지원 |
저탄소 그린산단 (8개사업) |
①대불산단 재생계획 수립, ②주차환경 개선, ③클린사업장 조성지원, ④산업단지 산재예방 통합지원센터, ⑤산업단지형 행복주택(화원산단), ⑥친환경 스마트 중소형 조선산업 일터혁신, ⑦에너지자급자족형 인프라 구축, ⑧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구축 |
ㅇ (추진체계) 혁신계획 추진체계 및 관리방안
2. 지역여건
ㅇ (국내 제2의 조선산업단지) 전남 서남권 산단은 ❶국가기간 산업의 핵심, ❷세계 최초 LNG 추진선을 건조한 친환경 조선의 선두 지역, ❸중소형 선박과 해양레저선박 기업이 집적된 조선해양특화단지
ㅇ (전남 서남권 경제 중심) 광양만권 산단과 더불어 전남도 제조업 일자리 중심지역으로 서남권 경제의 가장 중요한 성장동력
ㅇ (친환경선박/해상풍력 거점기지) 조선해양산업만으로 이뤄진 전국 유일의 단일 산단, 친환경 중소형선박과 해상풍력산업의 핵심거점
3. 혁신계획 구성
ㅇ 지능형 디지털 혁신산단
- 중소기업 맞춤형 생산제조혁신 지원, 물류 및 에너지 통합관제 시스템 도입
ㅇ 친환경 조선·해상풍력 특화산단
- 친환경 중소형 선박, 해상풍력 선도기술 개발, 친환경 중소형 선박 및 해상풍력 실증, 친환경 사업다각화로 인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ㅇ 저탄소 그린산단
- 노후 산단 재정비 및 안전 인프라 확충, 근로자 친화형 산단 인프라 개선, 에너지 저감 및 그린에너지 확대
4 | 충청남도 (’23~’25년) |
1. 혁신계획 개요
ㅇ (주력산업) 자동차부품산업을 중심으로 미래차 소부장 전환・융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반도체산업
ㅇ (비전) 탄소중립 기반 융합형 미래차 소부장 글로벌 허브 구축
ㅇ (목표) ①미래차 소재・부품・장비 충남형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② 3개 주력산업의 미래형・고부가산업으로의 견고한 전환 기반 구축, ③ 산・학・연 공동참여 적정형 인재양성을 통한 산단 인력공급 안정화, ④ 탄소중립 산단 조성을 위한 입주기업 친환경・고효율 인프라 보급 완성, ⑤ 스마트 안전산단 구축을 통한 중대재해 발생 혁신적 감소 달성, ⑥ 창업 클러스터 및 완성형 행복산단 조성을 통한 산단 청년인구 순유입 전환
ㅇ (대상지역) 거점산단(천안제3일반산단), 연계산단 및 연계지역(인주일반산단, 아산테크노밸리일반산단, 강소연구특구)을 대상지로 선정
거점단지 | ⦁他산단 대비 우위 확보, 전자・정보기기산업 중심의 첨단지식산업 육성을 통해 중소업체 활성화 및 R&D 기능 확대 |
연계단지 | ⦁인주일반산업단지(충남도 산단 내 생산(1.8%, 7위)을 차지, 자동차부품산업 집적지로 미래형 자동차부품 공급기지로 전환 가능) |
⦁아산테크노밸리일반산업단지(충남도 산단 내 입주업체(6.7%, 2위) 비중이 높으며, 고부가 전자부품(디스플레이 포함)산업으로 전환 가능) | |
⦁강소연구특구(차세대 디지털산업으로 전환・혁신이 가능한 핵심기관*을 주축으로 R&D성과 연계혁력 활성화 가능) |
ㅇ (신청사업) 총 30개 사업(’23년 국비 2,097.58억원)
중점과제 | 주요 사업(시·도 요구) |
친환경 미래 新산업 완성형 제조혁신 생태계 구축 | ⦁탄소중립 대응 미래차 융합산업 대전환 사업(ʼ23년 국비 145억원) ⦁대중소상생형 공동훈련센터 지원(ʼ23년 국비 150억원) |
탄소중힙 지향 그린 산업기지 & 재해안전(Disaster Free) 산단 리딩 | ⦁산업단지 친환경 설비 인프라 지원(산업단지 신재생에너지 설비 구축 활성화 지원사업)(ʼ23년 국비 50억원) ⦁충남 산단 재난・재해 통합 안전망 구축(ʼ23년 국비 48억원) |
자유로운 미래 창업, 모두의 행복이 함께햐는 젊은 산단 조성 | ⦁미래 모빌리티 기술창업 타운 조성(ʼ23년 국비 150억원) ⦁미세먼지 없는 그린산단 조성(ʼ23년 국비 140억원) |
ㅇ (추진체계) 충남도 산단대개조 사업추진 모델
2. 지역여건
ㅇ 충남 산단은 산단수 기준 전국 3위로, 융복합 미래 新산업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다양한 주력산업 생태계를 확보, 대-중소 상생 기반 거점-연계 협력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제조혁신의 최적 여건 보유
ㅇ 충남 산단은 업체 수(61.6%), 생산(39.6%), 수출(47.1%), 고용(55.8%) 등 모든 부문에서 도내 높은 비중을 차지, 산단 중심 제조혁신만이 충남 제조업 위기 극복의 유일한 솔루션
ㅇ 충남 제조업은 주력제품 시장매력도 상실, 저부가 산업구조 및 낮은 혁신역량, 대-중소기업 간, 산업 간 연계협력 미흡, 산단 노후화 등으로 성장정체에 직면, 산단을 중심으로 한 미래 융복합 산업으로의 신속한 전환을 통한 지속 가능 경쟁력 확보가 시급
3. 혁신계획 구성
ㅇ 전통 주력산업(자동차부품+디스플레이+반도체)의 미래 친환경 산업 대전환 및 산단-산업 간 연계협력을 통한 ʻ융합형 친환경 자동차 소부장 클러스터ʼ 달성
- 미래차(전기·수소차) 중심 소부장으로의 산업전환을 통한 글로벌 공급허브 구축 및 미래형 고부가 산업 전환을 위한 핵심 소부장 중심 제조혁신 달성
ㅇ 2050 탄소중립 국가전략적 목표달성 기여와 산단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ʻ친환경 그린 산단 인프라 고도화 및 전방위 기업지원체계ʼ 마련
- 저탄소 공정혁신, 에너지 고효율, 신재생 에너지 중심 친환경 그린 산단
ㅇ 사람-산단-기업이 모두 안전을 향후 할 수 있는 스마트 기반의 ʻ중대재해 ZERO 안전산단ʼ으로의 혁신적 변모 촉진
-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사후 처방에서 사전 진단·예측 중심의 안전산단 구축
ㅇ 일-문화-복지가 공존하는 모두가 만족하고 함께 성장하는 ʻ머물고 싶고, 찾아오고 싶은 행복산단ʼ 기반 조성
- 맞춤형 정주여건이 있는 청년 중심, 사람 중심의 머물고 싶은 행복산단 조성
5 | 충청북도 (’23~’25년) |
1. 혁신계획 개요
ㅇ (주력산업) ①지능형IT부품, ②바이오헬스, ③수송기계소재부품
ㅇ (비전) 지능형 융합기술 육성을 통한 소부장 산업 글로벌 기술거점 구축
ㅇ (목표) ①글로벌 첨단기술 선도, ②뉴딜구현 제조혁신 생태계,
③고급 기능직 일자리창출, ④사람중심 친환경 공간혁신
ㅇ (대상지역)
거점단지 | 청주일반산업단지 (일반) |
연계단지 |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 (국가) |
오창과학산업단지 (일반) | |
옥산산업단지 (일반) |
ㅇ (신청사업) 총 25개 사업(’23년 국비 443억원) *메뉴판 국비 341억원, 메뉴판외 국비 102억원
중점과제 | 실천과제 | 주요 사업 (시·도 요구) | |
메뉴판 | 메뉴판 외 | ||
글로벌 첨단기술 상용화 제조혁신 |
지능형 융합기술 기반 산업혁신 |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 ⦁지역선도산단연계협력사업(R&D) ⦁산단대개조지역기업기술개발사업(R&D) ⦁산단대개조지역기업사업화사업(비R&D) | ⦁국방소재벤처센터운영사업 |
밸류체인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
⦁스마트공장구축·고도화지원사업 | ⦁빅데이터플랫폼센터구축사업 ⦁KT데이터센터건립사업 |
|
근로자 공간 혁신으로 인재확보 및 양성 |
Work-Life Balance 공간혁신 | ⦁산단휴폐업공장리모델링사업 ⦁직장어린이집설치비지원사업 ⦁노후공단재정비지원(보조)사업 |
⦁오송기업지원센터건립사업 |
일자리창출 기술창업과 인력양성 |
⦁고용안정선제대응패키지사업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사업 ⦁캠퍼스혁신파크조성사업 |
⦁혁신기술제조창업공유공장구축사업 ⦁충북미래주력산업청년일자리지원사업 ⦁신중년경력형일자리사업 |
|
스마트 에너지 산단 전환 탄소중립 실현 |
삶의 질 중심 정주여건 개선 |
⦁활력있고아름다운거리조성사업 ⦁미세먼지차단숲조성사업 |
⦁스마트시티솔루션확산사업 |
탄소중립 스마트 에너지 산단 조성 |
⦁환경설비상용화지원사업 ⦁스마트에너지플랫폼구축사업 |
⦁산단입주기업솔라루프태양광보급사업 ⦁소규모사업장방지시설설치지원사업 |
ㅇ (추진체계) 충북 산단대개조 추진협의체
2. 지역여건
ㅇ 환경적 측면 (산업, 기업, 일자리)
현황/문제점 | 산업적 측면 | 기업 측면 | 일자리 측면 | |
산업구조 변화 대응 부족 | 중소제조업 역량 축소 | 청년인구유출, 일자리부족, 실업자수증가 | ||
| | | ||
개선 과제 |
신산업 대응역량 확보 지원 | 스마트 제조역량 확보 지원 | 청년인구 대상 전문 기술교육 지원 | |
신산업분야 진출 지원 | R&D, 기술자산 확보 지원 | 재직자 기술역량제고 교육 지원 | ||
대·중견 기술협력, 유통구조 확보 지원 | 중장년 이·전직, 재취업 기술교육 지원 |
ㅇ 산단 측면 (산단인프라, 제조환경, 정주여건)
현황/문제점 | 산단 노후화 | 기업 제조활동 | 근로자 정주여건 | |
단군 공장밀집형 구조, 산단 인프라 노후화 |
스마트 제조 기술·공정 부족, 탄소저감 등 해외경쟁력 부족 |
교통불편 등 부족한 정주여건, 환경오염 등 삶의 질 저하 |
||
| | | ||
개선 과제 |
노후 공간(공장) 개선 지원 | 스마트 제조환경 구축 지원 | 스마트시티 기술도입 지원 | |
노후 산단인프라 정비 지원 | 빅데이터 분석·활용 지원 | 노후 산단인프라 정비 지원 | ||
친환경 탄소중립(탄소저감) 스마트 그린 에너지 산단 조성 지원 |
3. 혁신계획 구성
ㅇ기획위원회를 통한 산단 간 거래관계 분석, 수요조사 및 대상산단 선정
- 산업, 기업, 산단 및 일자리 현황 및 문제점, 개선과제 반영
- 성과창출 가능성, 미래성장성, 지역 내·외 확산가능성 등 고려
ㅇ주력산업, 산단 주요현황·이슈, 관련 유관계획(정부정책, 충북·청주시, 지역 산학연관) 분석을 통한 대상산단 육성방향 및 Target 산업 선정
- ①지능형반도체, ②이차전지, ③첨단의료, ④지능형IT부품, ⑤수송기계부품
ㅇ메뉴판 및 메뉴판 외 사업 구성(선정) 및 세부 사업비 배분(구성)
- 가이드라인에 따른 우선순위 사업 도출·편성, 유사·중복 배제, 민간투자 활용
- 25개사업(메뉴15, 메뉴외10) 총 9,212억원(국1,788억, 지429억, 민6,995억)
* 메뉴판 4,201억원(국1,160억, 지246억, 민4,201억) / 메뉴판외 5,011억원(국628억, 지183억, 민5,011억)
ㅇ가이드라인에 따른 성과지표 구성 및 세부 산출방식 구체화
- ①생산증대, ②수출증대, ③일자리창출, ④탄소배출저감, ⑤근로자만족도
'부동산일반정책 > 부동산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부-농식품부-해수부, 빈집 관리 새 틀 짠다- 전국 빈집의 관리체계 개편·기준 통합을 위한 공동 연구 추진 (0) | 2022.06.15 |
---|---|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시행령」- 초광역권발전계획 수립절차 및 초광역협력사업 지원내용 마련 - (0) | 2022.06.15 |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조성사업 - 경남(창원), 전북(군산), 대전, 대구, 충남(청양), 강원(원주), 전남 (광주) -현재 총8개 (0) | 2022.04.12 |
3년차 맞은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 본궤도 - 노후 산업단지, 지역혁신과 일자리 창출 거점으로 대개조 (0) | 2022.03.30 |
위장전입∙통장매매 등 시장 교란행위 125건 적발- 불법행위 시 계약취소∙10년간 청약제한, 형사처벌 등 엄중 조치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