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로 서울 아파트를 매수하기 어려워지자 연립주택 등으로 수요자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된 이후 거래량이 크게 늘고 매매지수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다세대·연립주택의 매매가격지수의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지난달 조사한 다세대·연립주택 매매가격지수는 103.4로 전달보다 0.36% 상승했다. 지난해 8월 다세대·연립주택의 매매가격지수가 전달보다 0.01% 오르며 상승 반전한 이후 매달 상승폭을 키워가고 있다.
다가구주택과 빌라(다세대주택) 등이 밀집한 서울 강남구 한 논현동 골목 정경 /고운호 기자
실제로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도 급등했다. 지난해 11월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은 4631건으로, 지난 2018년 9월 5012건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거래량도 3917건으로 지난해 1월 거래량(2439건)을 크게 웃돌았다. 부동산 실거래신고 기한이 계약 후 60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11월과 12월 전체 거래량이 지난해 초보다 훨씬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단독·다가구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단독·다가구 거래량은 지난해 10월 1228건, 11월에는 1204건이 거래됐다. 지난해 1월 582건과 비교했을 때 두 배 이상 수치이자 2018년 8월(1441건) 이후 최대 거래량이다.
다세대·연립주택과 단독·다가구 거래량이 늘어난 이유로 우선 재개발 투자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는 점이 꼽힌다. 정부가 지난 8월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상한제 확대 시행을 예고하자 상대적으로 초기 투자부담이 적은 재개발 지분 투자로 눈이 쏠렸다.
특히 단독·다가구 거래가 활발한 곳은 재개발이 많은 지역이었다. 지난 11월 단독·다가구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인 성북구(149건)였다. 용산구(86건), 동대문구(74건), 은평구(69건)가 뒤를 이었다.
성북구 장위동의 A 공인 관계자는 "지난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발표된 후 재개발 투자를 노린 소형 연립주택 거래가 활발해졌다"면서 "규제 이전보다 매매가격이 오르고 매물도 자취를 감췄다"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부가 아파트 가격을 잡기 위해 줄줄이 내놓은 규제책의 풍선 효과도 앞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다세대·연립주택의 경우 규제에서 벗어난 9억원 이하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적은 돈으로도 매입할 수 있는 다세대·연립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하고 있다"면서 "단독·다세대주택을 매입할 때도 9억원이라는 대출 한도가 생기면서 바닥 물건들을 매수하려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새 아파트를 매수하기 어려워지자 분양을 노린 사람들이 재개발 구역의 소형 주택을 매입해 매매가격지수도 뛰고, 거래량도 상승한 것"이라며 "일부 고급 주택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다세대·연립주택이 9억원 이하인 것도 수요가 높아진 이유로 꼽힐 수 있다"고 했다.
[김민정 기자 mjkim@chosunbiz.com]
2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다세대·연립주택의 매매가격지수의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지난달 조사한 다세대·연립주택 매매가격지수는 103.4로 전달보다 0.36% 상승했다. 지난해 8월 다세대·연립주택의 매매가격지수가 전달보다 0.01% 오르며 상승 반전한 이후 매달 상승폭을 키워가고 있다.
다가구주택과 빌라(다세대주택) 등이 밀집한 서울 강남구 한 논현동 골목 정경 /고운호 기자
실제로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도 급등했다. 지난해 11월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은 4631건으로, 지난 2018년 9월 5012건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거래량도 3917건으로 지난해 1월 거래량(2439건)을 크게 웃돌았다. 부동산 실거래신고 기한이 계약 후 60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11월과 12월 전체 거래량이 지난해 초보다 훨씬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단독·다가구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단독·다가구 거래량은 지난해 10월 1228건, 11월에는 1204건이 거래됐다. 지난해 1월 582건과 비교했을 때 두 배 이상 수치이자 2018년 8월(1441건) 이후 최대 거래량이다.
다세대·연립주택과 단독·다가구 거래량이 늘어난 이유로 우선 재개발 투자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는 점이 꼽힌다. 정부가 지난 8월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상한제 확대 시행을 예고하자 상대적으로 초기 투자부담이 적은 재개발 지분 투자로 눈이 쏠렸다.
특히 단독·다가구 거래가 활발한 곳은 재개발이 많은 지역이었다. 지난 11월 단독·다가구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인 성북구(149건)였다. 용산구(86건), 동대문구(74건), 은평구(69건)가 뒤를 이었다.
성북구 장위동의 A 공인 관계자는 "지난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발표된 후 재개발 투자를 노린 소형 연립주택 거래가 활발해졌다"면서 "규제 이전보다 매매가격이 오르고 매물도 자취를 감췄다"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부가 아파트 가격을 잡기 위해 줄줄이 내놓은 규제책의 풍선 효과도 앞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다세대·연립주택의 경우 규제에서 벗어난 9억원 이하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적은 돈으로도 매입할 수 있는 다세대·연립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하고 있다"면서 "단독·다세대주택을 매입할 때도 9억원이라는 대출 한도가 생기면서 바닥 물건들을 매수하려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새 아파트를 매수하기 어려워지자 분양을 노린 사람들이 재개발 구역의 소형 주택을 매입해 매매가격지수도 뛰고, 거래량도 상승한 것"이라며 "일부 고급 주택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다세대·연립주택이 9억원 이하인 것도 수요가 높아진 이유로 꼽힐 수 있다"고 했다.
[김민정 기자 mjkim@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