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일반정책/부동산·경기-동향

"외지인이 들어와 하루 8채 쓸어갔다" 지방으로 번진 '원정 투자'-머니투데이

모두우리 2020. 11. 23. 07:36
728x90

"외지인이 들어와 하루 8채 쓸어갔다" 지방으로 번진 '원정 투자'

 

기사입력 2020.11.23. 오전 7:04 최종수정 2020.11.23. 오전 7:16  

[머니투데이 유엄식 기자]

 

지난 2011년 분양한 경남 창원 한 아파트 단지 모델하우스 앞에 이동식 중개업소(떳다방) 관계자들이 장사진을 친 모습. /사진=머니투데이DB

 

#대구 부동산 업계에선 이달 초 한 외지인이 동구 신천동, 중구 대신동 소재 아파트 단지 2곳에서 하루 만에 8채를 쓸어갔다는 소문이 돌았다. 두 곳 모두 한 대형 건설사가 지은 브랜드 단지로 알려졌다.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규제를 피한 '원정투자'라는 해석이 중론이다.

#경북 구미 아이파크더샵 청약 당첨자 발표일인 지난 11일 자정 모델하우스 앞에는 푸드트럭 등 야시장이 열리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전국 각지의 중개업자들이 초피(분양권에 붙는 첫 웃돈) 분양권을 사려고 몰려든 까닭이다. 이 단지는 전매제한이 없이 계약 직후 곧바로 되팔 수 있는데 현장에서만 분양가 대비 7000만원의 프리미엄이 붙은 것으로 알려졌다.


규제 풍선효과 지방 중소도시로 번졌다

 

2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지방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투자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6.17, 7.10 대책 이후 부산과 대구 아파트값이 급등하자 구미, 포항 등 인접 대도시에서도 투자 수요가 이어지면서 가격 상승세가 나타난다.

충청권에선 세종을 중심으로 청주, 충주, 천안 등이 전라권에선 광주와 전주를 중심으로 인접 도시들의 아파트값이 뛰었다.

이런 현상은 통계로도 확인된다. 최근 아파트값 상승률은 수도권보다 지방이 견인하는 모습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1월 셋째주 지방 아파트값 상승률은 0.32%로 서울(0.02%)과 수도권(0.18%)을 크게 웃돈다.

6.17 대책 이후 누적 상승률도 지방이 3.02%로 서울(0.62%)과 수도권(2.28%)보다 높다. 이 기간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나온 세종이 22.60%로 가장 많이 올랐고 김포(11.96%) 부산 해운대(11.40%) 대구 수성(11.32%) 부산 수영(10.30%) 지역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가 지난 19일 아파트값이 단기 급등한 김포, 부산 해운대 등 7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했지만 한 박자 늦었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이미 주변 지역까지 시세가 많이 오른 상황에서 '뒷북 대응'이란 이유에서다.


시세 10억 넘긴 사례도 속출…일부 단지는 서울·수도권보다 비싸

 

아직 비규제지역인 경남 창원과 전북 전주 등에선 지역 대장주 아파트 시세가 10억원을 훌쩍 넘은 사례도 나왔다.

창원시 용호동 '용지아이파크' 전용 114㎡는 지난 9월 신고가인 10억4300만원에 손바뀜했다. 이후 두 달간 가격이 급등해 현재 같은 평형 호가는 14억~15억원대다. 전주 덕진구 송천동 '에코시티더샵2차' 전용 117㎡은 이달 초 11억원에 매매됐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률이 낮았던 강원 지역도 외지인 투자가 늘면서 가격이 꿈틀댄다. 6.17 대책 이후 강원도 아파트값 평균 상승률은 2.39%로 집계됐다. 춘천(4.19%) 원주(3.42%) 지역이 시세를 견인했다. 올해 3분기 서울 거주자의 강원도 아파트 매입량은 815건으로 지방에서 가장 많았다.

이런 현상은 정부의 정책 실패가 자초한 결과란 지적이 나온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특정 지역을 규제하면 거래위축으로 단기 시장안정 효과는 있지만 다른 비규제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번지는 역효과가 계속 발생했다"며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다보니 수도권과 지방 중소도시 가격이 역전되는 비정상적인 결과를 초래한 것"이라고 말했다.

유엄식 기자 usyoo@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