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일반정책/부동산 일반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 발표- 전체 구역수 306개, 총 면적 109.3㎢ 도시개발사업 시행 중

모두우리 2020. 3. 27. 19:19
728x90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 발표

- 전체 구역수 306, 총 면적 109.3도시개발사업 시행 중 -

(연 도 별) '19년 신규 지정수(36) 전년과 동일, 지정 면적(9.4) 크게 증가

(파급효과) 연간 4.8조 원 경제적 파급효과, 2.1만 명 일자리 창출 효과 발생

(지 역 별) 경기도 54> 경남 18> 충남 14> 경북 12지정규모 순

(사업방식) 수용방식(48.4%, 148), 환지방식(49.3%, 151), 혼용방식(2.3%,7)

(시행주체) 민간시행자(68.0%, 208)가 공공시행자(32.0%, 98) 보다 다수

(사업기간) 평균 6.3년 소요, 3년 이하 17.9%, 4533.0%, 61036.7%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17개 광역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시개발사업 현황조사(`201~2)를 바탕으로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하였다.

 

도시개발법시행(2000. 7. 28.) 이후 현재까지 지정된 전국 도시개발구역의 수는 524, 총 면적은 167.5여의도 면적(2.9) 58배 규모이며, 이중 218(58.2) 사업이 완료되고 306(109.3) 시행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해 36(9.4) 신규 구역 지정 및 29(8.21) 사업 준공

 

지난해 신규 지정된 도시개발구역은 36로 전년도인 2018년도와 동일한 반면, 지정 면적은 9.4전년도(5.9)에 비해 약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 남양주 양정역세권 복합단지개발사업(2) 일부 대규모 구역 지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전체적으로 도시개발구역 지정 규모의 소형화 추세는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1 ] 최근 10년간 도시개발구역 지정 현황

구 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구역수

27

14

22

29

23

29

30

37

36

36

면 적

9.4

1.6

5.6

8.8

7.5

7.0

6.4

6.5

5.9

9.4

 

[ 2 ] 도시개발구역 지정 규모의 변화 추세



또한, 지난 해 신규로 지정단지ㆍ시가지조성사업(공공주택지구, 산업단지 등)총 지정 면적 38.2 도시개발구역의 지정비율은 24.6%(9.4), 종전(40%)에 비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ㅇ 이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3기 신도시 등 공공주택지구의 신규 지정이 크게 증가하여 전체적인 신규 지정 면적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 3 ] 전체 단지ㆍ시가지조성사업 중 도시개발구역 비중



이와 함께, 지난해에는 부산 일광구역(1.2), 경기 고양 식사구역(0.99) 29 도시개발사업이 완료되어 주거, 상업, 업무용지 등 8.21규모에 이르는 도시용지가 공급 것으로 파악되었다.

 

[ 4 ] 2019년도 도시개발사업 완료 현황

구 분

강원

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부산

세종

전남

충남

구역수

3

8

2

3

2

1

2

1

2

5

면 적

0.4

3.3

0.3

0.6

0.7

0.02

1.3

0.2

0.3

0.8

 

신규 사업 연간 4.8조원의 경제유발과 2.1만명 일자리 창출 효과

 

연간 7.0(최근 5년 평균)의 신규 도시개발구역 지정에 따른 파급효과를 추정한 결과 연간 약 1.7조 원의 자금(공사비) 투입4.8조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2.1만 명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투자비용은 부지 조성비로, 토지매입비와 주택 등 건축비는 제외된 수치이며,한국은행 산업연관표(2017)를 참조하여 산출

 

신규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한 연간 경제적 파급효과생산유발효과 3.4조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4조 원 발생으로, 4.8조 원에 이르는 경제유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5 ] 경제 부문 파급효과

구 분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

33,813

부가가치유발효과

14,127

생산 + 부가가치 유발효과

47,940

* (생산유발) 최종수요(투자)로 인한 각 산업부문의 직·간접 생산 유발액

(부가가치유발) 최종수요(투자)로 인한 각 산업부문의 ·간접 부가가치 유발액

 

ㅇ 한편, 신규 도시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연간 일자리 창출효과로 고용유발은 1.5만 명, 취업유발은 2.1만 명으로 분석되었다.

 

[ 6 ] 고용 부문 파급효과

구 분

고용부문 파급효과

취업유발효과

21,389

고용유발효과

15,208

* (고용유발) 10억원의 재화 생산으로 유발되는 피고용자 수(임금근로자 수)

(취업유발) 10억원의 재화 생산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임금근로자+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 1주당 1시간이상 일을 한 모든 사람을 포함

 

< 추정근거 >

. 연평균 투자비(1.7조원) : 연간 지정 면적(7.0, 최근 5년 평균)×공사비(242천원/)

* 공사비 : 최근 5년간 준공지구의 투입비용(용지비 제외) ÷ 사업면적

 

. 생산유발계수

구 분

평 균

교통시설

일반토목시설

산업시설건설

기타건설

생산유발계수

1.989

2.116

2.034

1.926

1.878

부가가치유발계수

0.831

0.848

0.852

0.825

0.798

 

. 취업 및 고용유발계수

(단위 : /10억원)

구 분

취업유발계수

고용유발계수

토목건설

12.582

8.946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17년 산업연관표(투입산출표 및 부속표)

 

 

 

 

지역별 경기도 54> 경남 18> 충남 14> 경북 12

 

지역별 사업규모는 개발압력이 높은 경기도가 172, 54구역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59, 18), 충남(59, 14), 경북(46, 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5 ] 지역별 사업현황

구 분

합 계

진행 중

사업완료

구역수

면 적

비 율%

구역수

면 적

구역수

면 적

서 울

11

9.9

5.9

11

9.9

-

-

부 산

10

1.6

0.9

-

-

10

1.5

인 천

30

11.2

6.7

20

7.9

10

3.3

대 구

14

0.9

0.5

8

0.7

6

0.2

대 전

16

5.2

3.1

10

1.8

6

3.5

광 주

14

2.3

1.4

6

1.4

8

1.0

울 산

13

5.1

3.1

9

4.0

4

1.1

세 종

2

0.5

0.3

1

0.3

1

0.2

강 원

20

2.3

1.4

10

1.3

10

1.0

경 기

172

54.2

32.4

125

38.8

47

15.4

충 북

17

4.3

2.5

13

3.8

4

0.5

충 남

59

14.3

8.6

22

4.9

37

9.4

전 북

13

9.2

5.5

6

3.5

7

5.7

전 남

21

9.2

5.5

11

7.3

10

1.8

경 북

46

12.2

7.3

21

7.6

25

4.6

경 남

59

18.0

10.8

31

12.3

28

5.8

제 주

7

7.1

4.2

2

4.0

5

3.1

 

난해 신규 지정 구역의 경우, 수도권에서 19, 5.3가 지정되어 전년도 2.1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수도권 지역에서는 17, 4.1가 신규 지정되어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 6 ] 연도별 지역별(수도권, 비수도권) 지정면적 추이

(단위 : )

구 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수 도 권

6.0

1.0

1.2

1.3

3.8

3.2

1.5

3.2

2.1

5.3

(63.4%)

(59.5%)

(21.9%)

(15.3%)

(51.3%)

(45.5%)

(24.0%)

(49.5%)

(35.3%)

(56.5%)

비수도권

3.4

0.7

4.4

7.4

3.7

3.8

4.8

3.3

3.8

4.1

(36.6%

(40.5%)

(78.1%)

(84.7%)

(48.7%)

(54.5%)

(76.0%)

(50.5%)

(64.7%

(43.5%)

 

 

사업시행 방식은 수용 48.4%, 환지 49.3%, 혼용 2.3% 비율

 

업시행 방식수용 48.4%(148), 환지 49.3%(151), 수용과 환지방식을 혼용하여 시행하는 혼용방식 2.3%(7)로 나타났으며,

 

사업시행자별로는 민간시행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68.0%(208), 민간사업의 비중이 공공시행자(32.0%, 98)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 7 ] 사업 시행방식별 현황

구 분

합 계

 

수 용

환 지

혼 용

합 계

구역수

306

148

151

7

비 율%

100

48.4

49.3

2.3

공 공

구역수

98

62

30

6

비 율%

100

63.3

30.6

6.1

민 간

구역수

208

86

121

1

비 율%

100

41.3

58.2

0.5

 

비주거형 사업의 지속적인 증가로 개발유형 다양화 추세 보여

 

개발유형으로는 주거형 사업(73.7%)비주거형(26.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주거·상업·산업 등 복합개발 형태의 비주거형 면적지속적으로 증가('1613.0%'1939.5%)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유형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시행주체별로는, 민간사업자의 개발유형은 주거형이 87.5%를 차지하여 주거형 위주의 개발이 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공공시행자는 주거형 61.3%, 비주거형 38.7%로 구성되어 민간에 비해 다양한 개발유형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8 ] 과거 10년간 사업유형별 구역지정 현황

(단위 : )

구 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주 거 형

7.7

0.5

5.1

8.6

6.3

4.7

5.5

4.7

4.0

5.7

(81.8%)

(32.9%)

(90.7%)

(98.4%)

(84.5%)

(67.1%)

(87.0%)

(72.7%)

(68.5%)

(60.5%)

비주거형

1.7

1.1

0.5

0.1

1.2

2.3

0.8

1.8

1.9

3.7

(18.2%)

(67.1%)

(9.3%)

(1.6%)

(15.5%)

(32.9%)

(13.0%)

(27.3%)

(31.5%)

(39.5%)





 

[ 9 ] 사업유형별 구역면적 현황

(단위 : )

구 분

주거형

비주거형

 

상업

복합

산업

관광

유통

공공

합 계

123.5

(73.7%)

44.0

(26.3%)

4.0

32.3

2.3

3.6

0.9

0.8

공 공

54.1

(61.3%)

34.1

(38.7%)

1.8

26.0

1.5

3.1

0.9

0.8

민 간

69.4

(87.5%)

9.9

(12.5%)

2.1

6.4

0.8

0.5

0.1

-

 

도시개발구역 지정 이후 사업 완료까지 평균 6.3년 소요

 

구역 지정 이후 사업완료까지평균 약 6.3년이 소요되었고, 3이하 17.9%(39), 4~533.0%(72), 6~1036.7%(80), 11~1511.9%(26), 16년 이상 소요된 사업은 0.5%(1)로 조사되었다.

 

사업방식별 시행기간을 보면, 수용방식은 평균 5.2, 환지방식은 평균 7.5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수용방식이 환지방식에 비하여 사업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 10 ] 사업시행 기간별 분류

구 분

3년 이하

4~5

6~10

11~15

16년 이상

평균

구역수

39

72

80

26

1

6.3

비 율%

17.9

33.0

36.7

11.9

0.5

 

[ 11 ] 사업방식별 사업시행 기간

구 분

3년 이하

4~5

6~10

11~15

16년 이상

평균

수용방식

29

44

35

6

0

5.2

환지방식

8

25

41

19

1

7.5

 

기존 도심으로부터 5이내에 60%이상 도시개발구역 입지

 

전체 524개 구역 중 60.9%(319)가 관할 행정구역 내 기존 도심으로 부터 5이내에 입지하고 있고, 5이상 ~ 10미만이 24.0%, 10이상 ~ 20미만이 13.4%, 20상은 1.7%에 불과하여 대부분 기존 도심에 인접하여 입지가 결정되고 있으며, 도심과 개발입지 간 평균거리는 5.1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12 ] 도심과 개발입지 간 거리별 분류

구 분

5이내

5~10

10~20

20이상

평균

구역수

319

126

70

9

5.1

비 율%

60.9

24.0

13.4

1.7

-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구역명, 지역·위치, 면적, 지정일, 시행자, 방식 등)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1

 

전국 도시개발사업 추진 현황

 


 

참고2

 

2019년도 신규 도시개발구역 지정 현황

 

구 분

지구

(개소)

면적

()

구역명

비고

36

9,393,821

 

 

강 원

소 계

1

36,039

 

 

홍 천

1

36,039

희망구역

 

경 기

소 계

19

5,311,865

 

 

부 천

1

65,393

성골구역

 

가 평

1

28,062

대곡2구역

 

화 성

1

38,883

도이구역

 

남양주

1

2,063,088

양정역세권 복합단지

 

평 택

1

99,470

학현지구

 

이 천

1

118,607

진암, 사동3, 아미1구역

 

안 양

1

157,081

관양고 주변 구역

 

의정부

2

114,360

원머루, 정자말구역

 

여 주

1

29,218

교동3구역

 

김 포

1

875,817

풍무역세권

 

양 평

3

72,536

창대1, 창대2, 병산2구역

 

안 성

1

96,962

공도 승두2구역

 

고 양

2

1,552,388

방송영상밸리, 일산테크노밸리구역

 

경 남

소 계

3

802,024

 

 

김 해

1

624,650

신문1구역

 

진 주

1

86,727

여객자동차터미널구역

 

거 제

1

90,647

아주내곡구역

 

경 북

소 계

2

181,188

 

 

구 미

1

115,784

상모구역

 

안 동

1

65,404

옥동구역

 

광 주

소 계

1

18,447

 

 

서 구

1

18,447

매월 단독주택단지

 

대 구

소 계

1

7,322

 

 

달서구

1

7,322

월배지구 근생 제8구역

 

대 전

소 계

1

593,852

 

 

유성구

1

593,852

도안2-2구역

 

울 산

소 계

1

503,994

 

 

울주군

1

503,994

웅촌 곡천구역

 

전 남

소 계

1

438,596

 

 

순 천

1

438,596

왕지2지구

 

전 북

소 계

3

565,414

 

 

순 창

1

98,866

순화지구

 

익 산

1

294,281

부송4지구

 

남 원

1

172,267

남원구암지구

 

충 북

소 계

3

935,080

 

 

청 주

1

87,361

가경서부구역

 

충 주

1

476,317

안림지구

 

진 천

1

371,402

성석구역

 


참고3

 

2019년도 도시개발사업 완료 현황

구 분

지구

(개소)

면적

()

구역명

비고

29

8,208,282

 

 

강 원

소 계

3

442,699

 

 

원 주

1

244,161

태장2구역

 

춘 천

2

198,538

석사, 퇴계구역

 

경 기

소 계

8

3,299,288

 

 

고 양

2

1,742,005

식사, 한국국제전시장구역(2단계)

 

김 포

1

305,852

풍무구역

 

가 평

1

59,934

달전구역

 

용 인

1

417,284

역북구역

 

하 남

2

723,542

지역현안사업1, 2구역

 

안 성

1

50,671

원곡 외가천구역

 

경 남

소 계

2

250,239

 

 

창 원

2

250,239

신방, 감계2구역

 

경 북

소 계

3

564,624

 

 

구 미

1

357,134

문성2구역

 

영 천

2

207,490

완산, 대미구역

 

광 주

소 계

2

710,574

 

 

광산구

1

611,000

하남3구역

 

동 구

1

99,574

내남구역

 

대 구

소 계

1

15,536

 

 

달서구

1

15,536

월배지구 근생 제1구역

 

부 산

소 계

2

1,301,098

 

 

해운대구

1

65,741

해운대관광리조트구역(온천센터)

 

기장군

1

1,235,357

일광구역

 

세 종

소 계

1

232,271

 

 

조치원

1

232,271

서북부구역

 

전 남

소 계

2

347,246

 

 

나 주

1

302,634

남평구역

 

순 천

1

44,612

용당구역

 

충 남

소 계

5

1,044,707

 

 

천 안

1

192,354

성성2구역

 

아 산

3

544,214

배방월천, 온천, 신정호구역

 

서 산

1

308,139

예천2구역